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4372호) 곡식 말리고, 윷놀이ㆍ멍석말이도 하던 멍석

튼씩이 2020. 6. 30. 12:59

“저녁을 먹고 나서는 뜰이나 마루에 보리집자리나 멍석가튼 것을 펴고 왼가족이 다 나와 안습니다. 그리고 솔깡이나 겨릅가튼 것으로 우둥불을 놋습니다. 그리고는 내일은 무엇을 하느니 아무 논벼는 몃섬이 나느니 팟종자를 개량한다느니 목화바테 무명이 만히 피엇다느니 하야 한참동안 구수한 이야기를 합니다. 그리고는 부인네들은 혹 바느칠도하고 혹 삼도 삼고 혹 이야기도 합니다.” 일제강점기 잡지 《개벽 제4호》 1920년 9월 25일 자의 ‘농촌의 밤’이 라는 제목의 글입니다. 정겨운 시골 저녁 마당 분위기가 느껴지지요.

 

▲ 멍석 깔고 판을 벌여볼까?

 

지금은 전통한식점, 전통찻집 등에서 멋으로 둘둘 말아 한쪽 벽을 꾸미는 쓰임으로 전락했지만, 멍석은 예전 우리 겨레에게 친근한 삶의 도구였습니다. 멍석은 주로 짚으로 만들었으며 보통 3m × 1.8m 정도의 직사각형이지만 둥근 모양도 더러 있었고, 특히 맷돌질할 때 바닥에 깔아 쓰는 맷방석이라는 둥글고 작은 것도 있습니다. 조선 후기 김형수가 쓴 《월여농가(月餘農歌)》에는 ‘관도점’이라고 했으며 덕석, 덕서기, 턱성, 터서기 등으로 불렀습니다.

 

멍석은 고추, 깨, 콩, 벼 등 곡식을 널 때도 쓰고 잔치 때나 상을 당했을 때, 굿판 등 큰 행사 때는 마당에 깔아 놓고, 많은 사람이 앉았으며, 명절에는 멍석에 윷판을 그려 놓고, 윷가락을 던지며 윷놀이도 즐겼지요. 속담에 ‘하던 짓도 멍석 펴면 안 한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은 역설적으로 ‘무엇을 제대로 하려면’ 멍석을 폈다는 뜻이 됩니다. 또한 ‘멍석말이’라는 말도 있는데, 이는 간통 따위를 저지른 사람을 멍석 안에 넣고 둘둘 말아 볼기를 칠 때 쓰던 말의 흔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