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에는 극락보전 후불 벽화인 보물 제1313호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白衣觀音圖)’가 있습니다. 이 벽화는 극락보전의 후불벽 뒷면 토벽에 황토색을 칠한 뒤 유려하고 간결한 맛으로 그린 관음보살벽화로, 1476년에 후불벽의 아미타삼존벽화와 함께 조성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떠가는 듯 일렁이는 파도 위에 연잎을 타고 서 있는 백의관음보살이 그려진 벽화입니다.
▲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모사도), 모사도 소재지 국립중앙박물관
하얀 옷을 입고 있는 백의관음보살은 당당한 체구에 흰 옷자락을 휘날리며, 오른쪽으로 몸을 약간 돌린 채 두 손을 앞에 모아 서로 교차하여 오른손으로는 버들가지를 들고 왼손으로는 정병을 들고 서 있습니다. 바람에 심하게 흩날리는 듯한 옷자락과 넘실대는 듯한 파도를 표현함으로써 강한 인상을 보여주고 있지요. 관음보살의 뒤쪽으로는 해 모양의 붉은색 원이 그려져 있고, 앞쪽 위에는 먹으로 5언율시가 쓰여 있습니다.
그리고 앞쪽 아래 구석쪽으로는 둔덕이 마련되어 있고, 관음보살을 향해 무릎을 꿇은 채 두 손을 벌려 손뼉을 치고 있는 듯한 자세의 비구(比丘)가 있지요. 흥미로운 점은 비구 어깨 위에 머리를 뒤로 돌려 관음보살을 쳐다보고 있는 새 한 마리가 앉아 있는 것인데, 백의관음보살에 견주어 비교적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조선 성종 7년(1476) 무렵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그림은 앞면의 아미타후불벽화와 더불어 고려식 조선 초기 불화연구에 중요한 자료라는 편가입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4454호) 오늘 상강, 노루꼬리처럼 뭉텅 짧아진 하루해 (0) | 2020.10.23 |
---|---|
(얼레빗 4453호) 우리 겨레 슬기로운 삶의 결정체 ‘마당’ (0) | 2020.10.22 |
(얼레빗 4451호) 조선 사회의 변혁을 꿈꾼 ‘백탑파’ 지식인들 (0) | 2020.10.20 |
(얼레빗 4450) 대한민국 어문정책의 큰 틀 만든 최현배 선생 (0) | 2020.10.19 |
(얼레빗 4449호) 선조, 인원왕후 언문(한글)으로 교지를 쓰다 (0) | 2020.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