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겨레는 한옥이란 주거공간에서 오랫동안 살아왔습니다. 그런데 그 한옥은 앞에 마당, 뒤뜰엔 꽃밭이나 푸성귀밭(채소밭)을 두었지요. 또 마당에는 잔디를 깔거나 꽃, 나무들을 심지 않고 빈 채 놓아둡니다. 시골에 있는 오두막집이라도 이 마당은 으레 있기 마련입니다.
그렇게 마당을 빈 채 놓아둔 까닭이 무엇일까요?
▲ 제천 청풍문화재단지 한옥의 앞마당
그렇게 구조를 만든 가장 큰 까닭은 바로 자연을 활용한 과학적 삶의 슬기로움입니다. 마당을 비워두면 여름에 햇볕에 달궈져 뜨거운 공기가 만들어져 위로 올라갑니다. 이때 마당과 꽃과 나무가 있는 뒤뜰 사이엔 기압차가 생겨 바람이 불게 되지요. 그 바람은 대청마루를 빠르게 통과함으로써 시원하게 여름을 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뿐만이 아니지요. 빈터로 된 마당은 수시로 다양한 삶의 형태가 펼쳐지는 곳으로 다시 태어나곤 합니다. 우선 마당은 평소엔 아이들의 놀이터가 되고, 마당 한 편에 놓인 평상은 사랑방이 되어 구수한 이야기가 오가기도 하지요. 또 집안에 혼례가 있으면 혼례식장, 상사가 나면 장례식장이 되기도 하며, 가을철 추수 때가 되면 마당에서는 타작도 합니다. 한 가지 더 마당은 조명장치의 구실도 하지요. 한옥은 처마가 깊어 처마 아랫부분이 어두워지지만, 마당에 반사된 빛이 처마 아래를 골고루 비춰주기 때문에 마당은 한옥의 조명장치가 되기도 하는 것입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4455호) 영웅 한번 성내니 간웅이 거꾸러졌네 (0) | 2020.10.26 |
---|---|
(얼레빗 4454호) 오늘 상강, 노루꼬리처럼 뭉텅 짧아진 하루해 (0) | 2020.10.23 |
(얼레빗 4452호) 파도 위에 연잎을 타고 선 백의관음보살 (0) | 2020.10.21 |
(얼레빗 4451호) 조선 사회의 변혁을 꿈꾼 ‘백탑파’ 지식인들 (0) | 2020.10.20 |
(얼레빗 4450) 대한민국 어문정책의 큰 틀 만든 최현배 선생 (0) | 2020.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