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4512호) 편안한 관아 창고, 무너질 수도 있어

튼씩이 2021. 1. 13. 07:27

廁鼠數驚社鼠疑(측서수경사서의) 측간 쥐는 자주 놀라고 사당 쥐는 의심이 많아

安身未若官倉嬉(안신미약관창희) 관아의 창고에서 편안하고 즐겁게 노는 게 으뜸이네

志須滿腹更無事(지수만복갱무사) 하지만, 배불리 먹고 또 무사하길 바라는데

地塌天傾身始危(지탑천경신시위) 땅 꺼지고 하늘 기울면 제 몸도 위태로워짐을 모르네

 

 

 

▲ 관아 창고에서 편안하고 즐겁게 노는 쥐는 창고가 무너질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그림 유주연 작가)

 

 

 

이는 백사 이항복(李恒福)의 한시 「삼물음(三物吟)」 곧 올빼미ㆍ쥐ㆍ매미를 노래한 것 가운데 쥐(鼠-서)에 관한 한시입니다. 백사는 뒷간에 사는 쥐는 사람 때문에 자주 놀라고, 깨끗한 사당에 사는 쥐는 의심이 많아서 역시 불안하지만, 이와 달리 관아 창고에 사는 쥐는 편하고 즐겁게 논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관아의 창고가 무너진다면 제 몸도 위태로워진다는 것을 모른다며, 백사는 따끔한 충고를 합니다.

 

 

뒷간 곧 시골에 묻혀 사는 사람이나, 사당 곧 임금 곁에서 아첨하면서 사는 사람보다는 그저 단순한 벼슬아치로 사는 것이 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벼슬아치 삶도 늘 조심하며 살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그곳이 무너져 함께 죽을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이 시에서는 백사 이항복의 철학이 물씬 묻어납니다. 정조(正祖)는 《홍재전서(弘齋全書)》 「일득록(日得錄)」에서 그를 두고 덕망과 공로와 문장과 절개 중에서 하나만 얻어도 어진 재상이라고 할 수 있지만, 백사는 그 모두를 한 몸에 겸하였다고 칭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