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화원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괴짜 화원은 아마 최북(崔北, 1720~죽은 해 모름)일 것입니다. 그는 자신의 이름 북(北) 자를 반으로 잘라서 ‘칠칠(七七)’을 자(字, 어른이 되어 붙이는 또 다른 이름)로 삼았습니다. 그래서 주변 사람들은 그를 "여보게, 칠칠이"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하지요. 그런데도 스스로 자로 삼았다니 괴짜 화원임이 틀림없습니다.
그런데 최북한테는 ‘최메추라기', '최산수' 등의 별명이 있지요. '최메추라기'는 그의 메추라기 그림에는 따라올 사람이 없어서 붙은 별명이고, 역시 '최산수'라는 별명은 그가 산수화를 잘 그렸음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품인 〈메추라기> 그림은 유명한 작품입니다. 최북은 어떤 힘 있는 이가가 와서 그림을 그려달라고 윽박지르자 차라리 나 자신을 자해할지언정 남에게 구속받아 그림을 그리지 않겠다며 필통에서 송곳을 꺼내 자기 눈을 찔러 애꾸가 되었습니다. 또 그는 금강산 구룡연(九龍淵)에서는 술에 취해 “천하 명인 최북은 천하 명산에서 마땅히 죽어야 한다.”라고 외치며 물에 몸을 던지는 등 괴짜 삶을 살았다고 하지요.
▲ <메추라기>, 최북, 18세기, 비단에 색, 고려대학교 박물관 / <참새와 고양이(묘작도)>, 변상벽, 93.9×43cm, 국립중앙박물관 / 호접도(胡蝶圖), 남계우, 94×32.3cm, 용인시박물관 - 왼쪽부터
그런데 여기 최북 말고도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참새와 고양이(묘작도,猫雀圖)〉를 그렸고, 〈국정추묘〉 등 고양이 그림으로 이름난 변상벽(卞相璧, 태어나고 죽은 해 모름)이라는 화원은 별명이 ‘변고양이’였으며, 용인시박물관 소장의 〈호접도〉와 〈군접도〉, 〈화접도대련〉, 〈화접묘도〉 등 나비 그림으로 이름을 날린 일호(一濠) 남계우(南啓宇, 1811~1890년)는 별명이 '남나비'였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4684호) 친일매국노와 식민사관을 만들어낸 문화통치 (0) | 2021.09.10 |
---|---|
[토박이말 살리기]1-75 들이울다 (0) | 2021.09.09 |
(얼레빗 4682호) <백치(白痴) 아다다>를 발표한 계용묵 (0) | 2021.09.08 |
[토박이말 찾기 놀이]1-14 (0) | 2021.09.07 |
(얼레빗 4681호) 오늘은 포도순절이 시작되는 절기 ‘백로’ (0) | 2021.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