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겨레치고 ‘윷놀이’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윷놀이’는 정초(正初)부터 정월대보름까지 가족과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전승ㆍ유지됐는데 지난 11일 문화재청은 국가무형문화재 새 종목으로 지정했습니다. 역사문헌에서 보면 ‘윷놀이’를 가리키는 말로 ‘저포(樗蒲)’, ‘사희(柶戲)’, ‘척사(擲柶)’라는 한자말이 있는데 우리 겨레의 우주관과 천문관을 바탕으로 음(陰)과 양(陽), 천체의 28수 등 형식의 완결성을 지니고 있지요.
▲ 국가무형문화재가 된 추임새문화 윷놀이(그림 이무성 작가)
또한, 윷가락의 다양한 지역적 분포(가락윷ㆍ종지윷 등), 윷판 없이 말로만 노는 건궁윷놀이 등 윷판의 다양한 형태, 놀이방법의 변형 등을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는 여지가 높고, 현재에도 인터넷과 슬기말틀(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게임화가 이루어지는 등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도 유연하게 전승되고 있습니다. 특히 요즘에는 사람이 윷이 되는 ‘인간윷놀이’가 생기고 윷판에 ‘임신’이나 ‘풍덩’ 자리가 생기는 등 재미난 변형도 나와 앞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이처럼 ‘윷놀이’는 ▲ 오랜 역사를 가지고 한반도 안에서 전승되고 있다는 점,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비롯하여 관련 역사적 기록이 풍부하게 확인되는 점, ▲ 윷판의 형성과 윷가락 사위를 나타내는 ‘도ㆍ개ㆍ걸ㆍ윷ㆍ모’에 대한 상징성 등 학술연구 주제로서 활용도가 높은 점, ▲ 가족과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단절 없이 전승이 지속ㆍ유지되고 있는 점, ▲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함께 즐길 수 있다는 점 등의 특징이 있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값어치가 있다고 평가받았지요.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4767호) 오늘은 첫눈 내린다는 ‘소설’ (0) | 2022.11.22 |
---|---|
(얼레빗 제4766호) 발신자ㆍ수신자 모르는 조선시대 청탁 편지 (0) | 2022.11.17 |
(얼레빗 제4764호) 선비의 방은 갓집이 걸린 쪽이 윗자리 (0) | 2022.11.11 |
(얼레빗 제4763호) 임금 행차 때 연주하던 곡 <대취타> (0) | 2022.11.11 |
(얼레빗 제4762호) 영조, 백성의 아픔에 하얀 쌀밥 못 먹겠다 (0) | 2022.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