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민영환 서구식 군복」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하고, 「안성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기념성당」을 등록 고시하였다.
이번에 등록 예고되는 「민영환 서구식 군복」은 조선말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개화 관료였으며,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죽음으로 항거한 민영환(閔泳煥, 1861-1905)이 입었던 서구식 군복이다. 서구식 군복제도는 1895년 ‘육군복장규칙’에 따라 시행되었으며, 본 유물은 1897년 및 1900년에 개정된 ‘육군장졸복장제식’에 따라 예모ㆍ대례의ㆍ소례견장ㆍ대수 등 구성요소를 대부분 갖추고 있어 복식사적 값어치가 충분하다.
* 육군복장규칙: 육군복의 종류와 복장별 구성품목에 대한 규정
* 육군장졸복장제식: 품목별 형태를 정한 규정
함께 등록되는 「안성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기념성당」은 한국 첫 천주교 사제인 김대건 신부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성당과 묘역들로, 해당 유구들을 통해 한국 천주교의 발전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 기념성당의 원형이 상당히 잘 유지되어 있고, 성당 앞에 있는 묘역들이 성당의 상징성과 장소성을 더욱 잘 보여준다.
▲ 성당 외부와 내부
문화재청은 이번에 등록된 「안성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기념성당」을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등록 예고된 「민영환 서구식 군복」에 대해서도 30일 동안의 예고기간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등록할 예정이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4804호) 겨레문화의 자부심 이수광의 《지봉유설》 (0) | 2023.03.20 |
---|---|
(얼레빗 제4803호) 추억의 말뚝박기, 그때가 그립습니다 (0) | 2023.03.16 |
북한산, 도롱뇽 산란과 함께 찾아온 봄 (0) | 2023.03.16 |
제례문화에 대한 오해와 편견 5, 조상제사, 형식보다 정성! (0) | 2023.03.16 |
식문화에 파고드는 '오마카세' 열풍 (0)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