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댈 수 있는 기둥이나 벽만 나오면 우리는 으레 말뚝박기했다. 그런데 가위바위보를 못 하는 녀석과 짝이 되면 늘 말이 되어야 했다. 또 상대편에 덩치 크고 뛰어오르기 잘하는 녀석이 있으면 이건 완전 죽음이다. 오늘은 말만 했지만, 내일은 가위바위보를 잘해 신나게 말을 타봐야지.” 한 블로그에 나오는 ‘추억의 말뚝박기’ 이야기입니다.
▲ 통영시 동피랑마을에 그려진 ‘말뚝막기’ 벽화
예전 컴퓨터가 없던 시절 아이들은 모이기만 하면 말뚝박기를 했습니다. 지방에 따라선 말타기라고도 했던 이 놀이는 남자아이들이 두 패로 나뉘어 한쪽은 말이 되고 다른 한쪽은 이 말에 올라타고 노는 놀이였지요. 먼저 양쪽에서 각기 대장을 뽑아 가위바위보를 한 다음 진 쪽이 말이 되는데 대장이 담벽 같은 데에 기대서고 어린이들은 허리를 굽힌 자세로 앞사람의 허벅지를 꽉 붙잡고 잇달아 말이 되었습니다.
이긴 쪽 아이들은 차례로 멀리서부터 달려와 앞쪽으로부터 말을 타 나가지요. 이때 말이 쓰러지면 몇 번이고 새로 말을 만들어야 하며, 말을 타다가 한 사람이라도 떨어지면 그쪽이 말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말을 타는 쪽에서는 어떻게든지 말을 무너뜨리려고 일부러 험하게 말을 타는데 말은 무너지지 않으려고 이를 악물고 버팁니다. 또 맨 뒷말은 끊임없이 발길질해서 상대방이 올라타기 어렵게 하지요.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놀았던 추억의 말뚝박기 그때가 그립습니다.
▲ 군산시 경암동 철길마을에 있는 말뚝박기 조형물
▲ 제주 ‘선녀와 나무꾼’에 설치한 말뚝박기 조형물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자 사자장식 향로ㆍ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 (0) | 2023.03.20 |
---|---|
(얼레빗 제4804호) 겨레문화의 자부심 이수광의 《지봉유설》 (0) | 2023.03.20 |
「민영환 서구식 군복」 문화재 등록 예고 (0) | 2023.03.16 |
북한산, 도롱뇽 산란과 함께 찾아온 봄 (0) | 2023.03.16 |
제례문화에 대한 오해와 편견 5, 조상제사, 형식보다 정성!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