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제22대 임금 정조(1752~1800)는 죽은 아버지 사도세자를 애타게 그리워했습니다. 그래서 아버지를 위한 절 용주사를 세웠고, 화성을 쌓았지요. 거기에 더하여 아버지를 위한 제례악 “경모궁제례악(景慕宮祭禮樂)”도 만들었습니다. 이 악장은 1783년(정조 7)에 문신 이휘지(李徽之)가 만들었고, 뒤에 남공철(南公轍)이 고쳤지요. 이 음악들은 모두 종묘제례악인 <정대업 定大業>과 <보태평 保太平> 가운데에서 발췌하여 줄인 것들로 종묘제례악의 축소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1776년(정조 즉위년) 9월에 김한기(金漢耆)와 정상순(鄭尙淳)을 악기도감제조로 삼아 경모궁악기조성청을 만들고 ≪악학궤범≫에 수록된 <정대업> 제도를 본떠 악기를 만듭니다. 그 때 완성된 악기는 편종·편경·축·어와 같은 아악기가 있는가 하면, 방향·당피리와 같은 당악기가 있고, 대금·아쟁·거문고·가야금·해금·아쟁·장구·태평소와 같은 향악기도 섞여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모궁제례악은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경술국치 이후로는 연주되지 않았지요. 다만, 1930년대까지도 이왕직 아악부 아악사들의 교육과정으로 반드시 익히게 되어 있었습니다. 현재는 연주되지 않고, 국립국악원이 1975년에 만든 음반 <한국음악선집> 제4집에 이 음악이 수록되었을 뿐입니다. 정조임금이 아버지를 사무치게 그리워하여 만들었던 “경모궁제례악” 다시 연주될 날을 고대해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