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841

궁중장식화 - 어디에 놓였을까, 정전

3. 궁중장식화, 어디에 놓였을까 – 공간 궁궐은 관료집단이 왕과 함께 국가를 경영하는 정치적, 공적 공간이면서 동시에 왕실 가족이 일상생활을 영위해나가는 사적 공간이기도 했다. 궁궐은 크게 외전(外殿)영역과 내전(內殿) 영역으로 나뉘는데, 외전 영역은 의례가 거행되며 국가 행사가 이루어지는 정전(正殿)과 편전(便殿)을, 내전 영역은 침전(寢殿)을 지칭한다.16) 16) 궁궐 공간에 따른 궁중 회화의 장엄 분석은 다음 참조. 홍선표, 「조선시대 궁궐의 그림 치장」, 『동아시아의 궁중미술』(CAS, 2013), pp.208-227. 1) 정전 정전은 왕의 즉위식, 가례(嘉禮), 조하례(朝賀禮), 외국 사신 접견과 같은 국가와 왕실의 주요 의식을 거행하는 중심 전각으로, 국가 권위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공간..

궁중장식화 - 궁중장식화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5)

(2) 장지화 조선 궁궐의 전각은 기둥으로 칸을 나누고, 기둥 사이를 벽과 창호로 메워 방[室]을 만드는 가변적 공간이다. 방을 만들 때 벽과 천장에 문틀을 고정시킨 다음 칸막이처럼 다는 문을 장지[障子]라고 한다.14) 장지문은 설치, 분리가 가능하긴 하나 병풍과 달리 벽체에 고정되어 이동이 어렵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일월오봉도 창호>와 같이 4조가 한 세트로 미닫이 형태를 띤 창호 장지문은 아마도 국왕의 침전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침전은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아홉 칸으로 나뉘어 정중앙 부분을 왕이나 왕비의 침실로 삼고, 그 주변 여덟 칸에서는 침전에서 일을 하는 나인들이 잠을 청했다. 아홉 칸의 정중앙부에 방을 만들기 위해서는 4면에 세워질 칸막이가 필요하다. 그 때문인지 현존하는 ..

궁중장식화 - 궁중장식화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4)

2) 궁중 장식화의 형식 (1) 병풍 병풍은 18세기 이후 가장 일반적인 궁중 장식화의 매체 형태이다.12) 병풍은 이동이 가능한 가구이자 고정시키면 건축의 일부가 되었으며, 펼치면 그림과 글씨를 담을 수 있는 화면이 되었다. 병풍이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던 데에는 실용적인 이유도 크다. 궁궐 건축은 칸 마다 장지(障子)와 창호(窓戶)로 개폐가 가능한 유동적인 공간이었다. 병풍은 장지와 창호 앞에 세워져 한기를 막아 주는 훌륭한 방한 기구였다. 또한 가변적인 공간을 장식하기 위해서는 벽화보다 이동 가능한 병풍이 적합하였을 것이다. 병풍은 형식상 1폭짜리 삽병에서, 2폭 가리개, ‘ㄷ’자형 3폭 병풍, 짝수의 다폭 병풍까지 다양하다. 은 일월오봉도를 한 폭에 대형으로 그려 액자 형태의 나무틀을 두르고 별도의 ..

전기 용어, 위험한 말에서 안전한 말로

외래 용어를 우리말로 다듬는 작업은 외래 용어들을 국어 어휘 체계 내에 온전히 정착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물론 외래 용어를 소리 나는 대로 읽은 것이 그대로 차용되어 자연스럽게 국어 어휘 체계에 정착되기도 하지만, 외래 용어 등에 익숙하지 않은 많은 언어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의미만을 차용하여 국어의 재료로 새 단어를 만드는 작업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어려운 한자어, 전문용어를 조사하고 쉬운 용어로 개선하는 ‘정부 공공기관 대상 어려운 전문용어 개선 지원 사업’은 이러한 맥락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사업을 통해 어려운 전문 언어 사용으로 발생되는 정보 불평등과, 시간, 비용 등의 사회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1년 영남대학교 ..

궁중장식화 - 궁중장식화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3)

(3) 길상적 이야기: 곽분양행락도, 요지연도, 한궁도 궁중장식화 중에는 기복적인 이야기를 담은 인물화도 포함되어 있다. 곽분양행락도는 당나라 현종대 안사의 난을 평정하였던 장군, 곽자의의 고사를 주제로 하였다.9) 그는 황제로부터 분양 군왕에 봉해졌을 뿐 아니라, 15명의 자녀를 두고 그들이 고관에 봉직하거나 황실의 가족이 되는 등의 복락을 누렸다. 화면 중앙에 곽자의가 가족에게 둘러싸여 연회를 즐기는 장면이 그려졌고, 화면 좌우에는 가택의 후원과 내실이 펼쳐져 있다. 요지연도는 서왕모가 주나라 목왕을 비롯해 각종 신선들을 초대한 연회 장면을 그렸다.10) 삼천년마다 열리는 장수의 과일, 반도(蟠桃)를 기념한 연회인 만큼 축수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육지의 서왕모와 목왕의 연회장면과 신선들의 바다 장면..

궁중장식화 - 궁중장식화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2)

(2) 길상적 상징물: 십장생도, 해학반도도, 책거리 길상적인 의미를 가진 동식물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화제로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대표적인 것이 십장생도이다. 십장생도는 장수하는 자연물을 그린 축수용 그림이다.6) 실상 장생물은 고정되었던 것은 아니고 13가지 장생물 중에 선택되었다. 해, 달, 구름, 산, 물, 돌, 학, 사슴, 거북, 소나무, 대나무, 영지, 천도복숭아 등이다. 이들을 장생물이라 인식하는 것은 중국 고대의 의장에서 자주 발견되지만 ‘십장생’이란 용어는 조선에서 고안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해학반도도는 바다, 학, 반도가 중심이 되는 장생도의 하나이다.7) 십장생도 중에 주로 바다 주변의 풍경이 넓게 확장된 구성을 띠고 있다. 19세기말 이후 크고 화려한 병풍으로 그려져 대한제국기..

궁중장식화 - 궁중장식화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1)

2. 궁중장식화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도상과 형식 1) 궁중장식화의 도상 (1) 권위의 상징: 일월오봉도, 모란병 일월오봉도는 해와 달, 그리고 다섯 개의 산봉우리로 이루어진 그림으로 조선에서 왕을 상징하는 그림으로 사용되었다.4) 이 도상의 연원에 대해서는 오악 신앙(五嶽信仰)과 음양오행(陰陽五行) 사상, 『시경(詩經)』의 구절에 의거하였다는 연구가 있다. 조선에만 존재하는 도상으로 조선 초기에 도상이 성립된 후 왕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오봉도는 어좌 뿐 아니라 임금을 상징하는 어진, 신주 등에도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모란병은 꽃 중의 왕(백화왕)이라 불린 모란의 상징 때문에 특히 왕실에서 애호된 병풍이다.5) 궁중에서는 단지 장식용으로서만이 아니라 각종 의례 공간에 특별한 주술성을 부여하기 위해..

궁중장식화 - 궁중장식화란 무엇인가

궁중장식화, 상징과 염원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유재빈 (홍익대학교) 1. 궁중장식화란 무엇인가 – 개념 궁중장식화는 궁궐 공간을 장식하기 위해 사용된 그림을 의미한다. 내용상 길상적인 소재가 많고 표현이 관습적으로 반복되었기 때문에 민화와 유사한 점이 많다. 이러한 이유로 궁중장식화는 오랫동안 민화의 범주에서 연구되거나 전시되었다.1) 그러나 왕실에서 사용되던 궁중 회화를 민화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의식이 일면서 1990년대부터 궁중에서 사용된 것이 분명한 유물, 특히 일월오봉도와 모란도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2) 궁중 회화가 독립적인 연구 분야로 인식된 것은 오래되지 않았다. 궁중장식화 가 민화의 일환으로 다루어졌듯이 궁중 행사도는 풍속화의 범주에서, 궁궐도는 산수화의 범주에서 연..

‘로컬푸드’를 ‘가까운 먹을거리’로 부르자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새로운 말과 용어가 생겨난다. 다른 영역도 마찬가지겠지만 먹을거리 환경은 기후 위기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그래서 먹을거리 관련 정책과 일상생활에서 새롭게 사용되고 있는 단어들도 많다. 최근 우리는 로컬푸드나 로컬푸드 직매장이라는 단어를 많이 접한다. 1990년대 중반에 건강과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먹을거리 운동으로 로컬푸드 운동이 시작되었고, 일본에서는 지역에서 생산된 것을 지역에서 소비하자는 지산지소(地産地消)운동으로 표현되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이를 “로컬푸드”라고 부르고 있다. 먹을거리 정책, 계획을 좀 더 쉽고 깊게 접할 수 있도록 2016년 유엔 총회에서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수립하였고, 이에 따라 한국 정부도 2018년에 한국형 지속가능발전목표(K-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