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83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5항

모음 ‘ㅗ, ㅜ’로 끝난 어간에 어미 ‘-아/-어’, ‘-았-/-었-’이 붙어서 ‘ㅘ/ㅝ’, 으로 주는 것은 ‘ㅘ/ㅝ’, 으로 적는다. 보아→봐 보아도→봐도 보아서→봐서 보았다→봤다 추어→춰 추어서→춰서 추어야→춰야 추었다→췄다 이때에도 줄어든 형태와 줄어들지 않은 형태를 모두 쓸..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4항

국어에서는 동일한 모음이 연속될 때 한 모음으로 줄어드는 일이 있다. 이렇게 줄어드는 현상은 필수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나타나지 않기도 한다. 먼저, 모음 ‘ㅏ, ㅓ’로 끝나는 어간에 어미 ‘-아/-어’, ‘-았-/-었-’이 결합할 때는 ‘ㅏ/ㅓ’가 줄어든다. 따-+-아→따 따-+-았-+-다→..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3항

체언과 조사가 결합할 때 음절의 수가 줄어들면 준 대로 적는다. 예를 들어 구어에서 ‘사과는’과 ‘사과를’이 ‘사관’과 ‘사괄’로 줄어드는 경우 준 대로 적는다. 또한 ‘그것’, ‘이것’, ‘저것’에 조사 ‘으로’가 붙어서 줄어들 때에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줄어든다. 그것으..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2항

음절 수가 많은 ‘본말’에서 음절 수가 적은 ‘준말’이 형성될 때 어근이나 어간에서 끝음절의 모음이 줄어들고 자음만 남는 경우 자음을 앞 음절의 받침으로 적는다는 규정이다. 예를 들어 ‘어제저녁’이 줄어들어 [얻쩌녁]이 될 때 둘째 음절 ‘제’에서 남은 ‘ㅈ’을 첫째 음절의..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1항

단어가 형성될 때 ‘ㅂ’이나 ‘ㅎ’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예를 들어 ‘벼’와 ‘씨’가 결합하면 [벼씨]가 아니라 [볍씨]가 된다. 이런 경우에 소리 나는 대로 ‘볍씨’로 적는다. 또한 ‘살’과 ‘고기’가 결합할 때 [살고기]가 아니라 [살코기]가 되는데 이때도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0항 (2)

셋째, 이 두 가지 요건과 더불어 합성어를 이루는 구성 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고유어이어야 하고 구성 요소 중에 외래어도 없어야 한다는 조건이 덧붙는다. 예를 들어 ‘개수(個數)’, ‘초점(焦點)’, ‘기차간(汽車間)’, ‘전세방(傳貰房)’은 ‘갯수’, ‘촛점’, ‘기찻간’,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0항 (1)

이 조항에서는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조건을 규정하고 있다. 사이시옷을 받쳐 적으려면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첫째, 사이시옷은 합성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합성어가 아닌 단일어나 파생어에서는 사이시옷이 나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해님’은 명사 ‘해’에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9항

0sGJF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8항B0401 이 조항은 역사적인 변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튿날’은 ‘이틀’과 ‘날’이 결합한 것인데, 이때 ‘이틀날’이 아니라 ‘이튿날’로 적는다는 것이다. 중세 국어에서 ‘이틀’과 ‘날’..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8항

'ㄹ' 받침을 가진 말이 합성어나 파생어를 형성할 때 'ㄹ' 받침이 발음되지 않게 바뀐 경우에는 바뀐 대로 적는다. 역사적으로 'ㄹ'은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하는 일이 적지 않았다. 아래 단어도 그러한 예이다. 나날이(←날+날+-이) 무논(←물+논) 무쇠(←물+쇠) 부넘기(←불+넘-+-기) 아..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7항 (2)

[붙임 1] 어원이 분명하더라고 이미 소리가 바뀐 경우에는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 '할아버지, 할아범'은 '한아버지, 한아범'에서 온 말이지만 [하라버지]와 [하라범]으로 발음이 바뀌었으므로 바뀐 대로 적는다. [붙임 2] 어원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