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83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0항 (2)

[붙임] 그렇지만 명사에 ‘-이’ 이외의 모음으로 된 접미사가 결합한 경우에는 명사의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 이러한 접미사는 결합하는 어근이 제약되어 있고 더 이상 새로운 말도 만들어 내지 못한다. 고랑(← 골+ -앙) 터럭(← 털+ -억) 끄트러기(← 끝+ -으러기) 모가지(← 목+ -아지)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0항 (1)

명사에 접미사 ‘-이’가 결합하여 부사나 명사가 되는 경우 명사의 본모양을 밝혀 적는다. ‘-이’가 결합하여 품사나 의미가 바뀌더라도 명사의 원래 의미와 ‘-이’의 의미는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비교적 다양한 명사에 결합할 수 잇기 때문에 명사의 본모양..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19항 (2)

[붙임] ‘-이’, ‘-음’이 아닌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결합한 경우에는 어간의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 이러한 접미사는 결합하는 어간이 제약되어 있고 더 이상 새로운 말도 만들어 내지 못한다. ① 명사로 된 것 너머(←넘- + -어) 뜨더귀(←뜯- + -어귀) 마감(←막- + -암) 마개(←..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19항 (1)

용언의 어간에 '-이', '-음/-ㅁ'이 결합하여 명사가 되거나 '-이', '-히'가 결합하여 부사가 되는 경우에는 어간의 원형을 밝혀서 적는다. 명사를 만드는 '-이'나 '-음/-ㅁ'은 어간의 본뜻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여러 어간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어간 형태소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 굽이(굽다)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8항 (6)

< 더 알아보기 > • '-거라/-너라 불규칙'의 소멸 '가다'와 '오다'에는 일반적인 명령형 어미 '-아라/-어라' 대신에 '-거라'와 '-너라'가 결합한다고 본 적이 있다. 하지만 현재는 '-아라/-어라'와 '-거라', '-너라'가 의미와 어감이 다르다고 보아 '가라( ← 가- + -아라), 가거라'와 '와라( ←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8항 (5)

7. 어간 '하-' 뒤에 어미 '-아'가 결합하여 '하여'로 바뀌어 나타나는 경우, 바뀐 대로 적는다. '하여'는 '해'로 줄어들 수 있다.(한글 맞춤법 제34항 붙임 2 참조) 하다 하- + -아 → 하여 → 해 하- + -아라 → 하여라 → 해라 하- + -아도 → 하여도 → 해도 하- + -았다 → 하였다 → 했다 8. '이르-,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8항 (4)

5. 어간 끝 받침 'ㄷ'이 모음 앞에서 'ㄹ'로 바뀌어 나타나는 경우, 바뀐 대로 적는다. ① 어간이 바뀌는 경우: (걸음을) 걷다, 긷다, 깨닫다, 눋다, 닫다(빨리 뛰다), 듣다, (물음을) 묻다, 붇다, 싣다, 일컫다 ② 어간이 바꾸지 않는 경우: (빨래를) 걷다, 곧다, 굳다, (문을) 닫다, 돋다, 뜯다,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8항 (3)

3. 형용사의 어간 끝 받침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나타나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는 대로 적는다. 이에 따라 '노랗-'에 '-아'가 결합하면 '노래'와 같이 활용하고, '누렇-'에 '-어'가 결합하면 '누레'와 같이 활용한다. 또한 어간 끝 받침이 'ㅎ'인 형용사 어간에 '-네'가 결합하면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8항 (2)

1. 어간 끝 받침 'ㄹ'이 'ㄴ, ㅂ, ㅅ'으로 시작하는 어미나 어미 '-오, -ㄹ' 등 앞에서 나타나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는 대로 적는다. 예를 들어 '살다'의 어간 '살-'에 어미 '-네, -세, -오'가 결합하면 'ㄹ'이 탈락하여 '사네, 사세, 사오'가 된다. 이를 도식화하여 보이면 다음과 같다. '갈다, 날다..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8항 (1)

용언의 어간에 어미가 연결될 때에는 어간의 모양이 바뀌지 않는 경우와 바뀌는 경우 두 가지로 나타낸다. ① 먹-다, 먹-어, 먹-으니 ② 듣-다, 들-어, 들-으니 '먹다'는 '-다, -어, -으니'와 결합할 때 어간의 모양이 바뀌지 않는 데 비해 '듣다'는 '-다'와 결합할 때는 '듣-'으로, '-어, -으니'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