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별곡 4

「삼척 죽서루」와 「밀양 영남루」 ‘국보’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인 2건의 대형누각(樓閣) 「삼척 죽서루」와 「밀양 영남루」를 국보로 지정 예고했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지방자치단체의 「삼척 죽서루」와 「밀양 영남루」에 대한 국보 지정 요청에 따라, 관계 전문가의 지정조사와 문화재위원회 검토를 거쳐 이번에 국보 지정 예고를 하게 되었다. 「삼척 죽서루」는 고려 명종(1171∼1197)대에 활동하였던 김극기(金克己, 1148∼1209)가 죽서루의 풍경을 시로 썼던 것으로 미루어 보아 적어도 12세기에는 창건되었으며, 안축(安軸, 1282~1348)과 정추(鄭樞, 1333~1382) 등의 시를 통해 처음에는 ‘서루(西樓)’로 불리다가 14세기 후반에 들어서 ‘죽서루(竹西樓)’로 불리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삼척 죽서..

김두루한 배움이야기 6, ‘수학’이 아니라 ‘셈갈’이다!

초등 교과서로 본 셈본, 산수, 수학 초등학교에서는 ‘셈본’을 1946년부터 1955년까지 펴낸 일이 있다. ‘산수’는 1941년부터 써 온 이름인데, 우리말 도로찾기 차원에서 셈본으로 바꾼 것이었다. 셈본은 셈하는 방식. 또는 그것을 전하는 책을 말한다. 1954년 4월부터 제1차 교육과정이 시작되는데, 1955년부터 교과서 이름은 산수로 다시 바뀌었다. 또 제6차 교육과정(1992~1997)에 따라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이름이 바뀌고, 1994년부터 '산수'가 '수학'으로 바뀌었다. 이전까지 수학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때 배웠던 과목이었다. 《초등 셈본 5-2》, 군정청 문교부(왼쪽), ▲ 《초등 셈본 5-2》, 속살 차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두산백과사전》, 고등학교 《수학》 (박교식..

(얼레빗 4494호) 위대한 문장가 정철은 굶어 죽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참된 문장은 오직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이 세 편뿐” 이는 서포 김만중이 자신의 책 《서포만필》에서 송강 정철을 평한 이야기입니다. 484년 전인 1536년 오늘(12월 18일)은 송강 정철(鄭澈, 1536~1994)이 태어난 날이지요. 정철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많은 한글 가사 작품을 남겼는데 이 작품들을 모아 엮은 책이 《송강가사》입니다. 임금(선조)에 대한 충정을 여인의 심경으로 표현한 , , 백성들을 계몽하고 교화하기 위해 지은 등이 《송강가사》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 송강가사(松江歌辭)》 - 왼쪽 / 《송강가사》에 수록된 사미인곡(국립중앙도서관) ”정철은 그 마음이 정직하고 그 행동은 올바르며 그의 혀는 곧 직언함으로써 사람들에게 미움을 줄 뿐이며, 직에 임하여서..

(얼레빗 3989호) 송강 정철이 말한 늙어 잘 할 수 있는 일이란?

한국문화편지 3989호 (2019년 01월 10일 발행) 송강 정철이 말한 늙어 잘 할 수 있는 일이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89][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明時自許調元手(명시자허조원수) 밝은 때라 스스로 정승감이라 자부했었는데 晩歲還爲賣炭翁(만세환위매탄옹) 늘그막에 도리어 숯을 파는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