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발령 10

(얼레빗 제4881호) 1895년 11월 15일 선포된 단발령, 백성들 저항

1895년(고종 32) 11월 15일 김홍집내각은 어른이 된 남자의 상투를 자르도록 단발령(斷髮令)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8월 20일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처참하게 시해되어 반일의식이 한층 높아진 상태에서 단발령은 백성 사이에 기름을 부은 꼴이 되었습니다. '신체발부(身體髮膚)는 수지부모(受之父母)라 불감훼상(不敢毁傷) 효지시야(孝之始也)라'라는 말은 공자(孔子)가 한 말로 “너의 몸과 터럭(털), 그리고 살갗은 모두 부모에게 물려받은 것이니 감히 손상하지 않게 하는 것이 효도의 시작이니라.”라는 윤리의식이 뿌리 깊었던 유생들에게는 목숨을 내놓으라 한 것이나 다름없었던 것입니다. 고종과 태자가 압력에 못 이겨 상투를 잘랐지만, 학부대신 이도재(李道宰)는 명령을 따를 수 없다고 상소하고는 대신 직을 사임..

도끼를 가지고 상소를 올린 면암 최익현

도끼를 가지고 상소를 올린 면암 최익현 어떤 이가 공을 세우려고 순검을 데리고 가서 순검들에게 면암 최익현 선생의 머리를 자르라고 하였다. 이에 순검들은 깜짝 놀라 ‘우리들이 차라리 죽을지언정 어찌 차마 대감의 머리에 칼을 대겠는가?’라며 꾸짖었다. 순검들이 크게 욕하고 가버리니 그의 흉계가 수포로 돌아갔다. 선생이 이 말을 듣고 탄식하기를 ‘이름이 선비면서 처신이 이와 같으니 참으로 금수만도 못하다’라고 했다. 1895년 일어났던 일입니다. 당시 단발령이 내려진 상태였지만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의 머리는 그 누구도 자를 수 없었습니다. 1906년 홍주(洪州) 의병 80명이 갇혀 있었는데 일본 헌병이 칼을 가지고 와서 머리를 자르려고 하다가 최익현이 왔다는 소리를 듣고 깜짝 놀라며 달아났다는 이야기..

대한제국 말기 집집마다 초상사진을 걸어둔 까닭은?

대한제국 말기 집집마다 초상사진을 걸어둔 까닭은? “짐(朕)이 머리를 깎아 신하와 백성들에게 우선하니 너희들 대중은 짐의 뜻을 잘 새겨서 만국(萬國)과 대등하게 서는 대업을 이룩하게 하라.” - 『고종실록』 32년 11월 15일 고종 32년(1895년) 11월 15일에 고종이 단발령을 내리자 온 나라가 들끓습니다. 조정에서는 단발령을 내리는 까닭으로 단발을 함으로써 만국과 동등해질 수 있고 위생적이며 활동적임을 내세웁니다. 하지만 백성들은 ‘신체발부수지부모(身體髮膚受之父母)’ 곧 ‘몸과 터럭과 살갗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다’를 금과옥조로 삼아서 머리카락 자르는 것을 불효로 보았기에 받아들일 수 없었지요. 그래서 백성들은 단발령을 완강히 거부했고, 이에 순검들이 길거리에서 상투를 마구 자르거나 민가에 들어..

(얼레빗 4223호) 면암 선생, 단식으로 순국하지 않았다

“생각건대, 신이 이곳으로 들어온 뒤에 한 숟가락의 쌀과 한 모금의 물도 모두 적의 손에서 나온 것이면, 설사 적이 신을 죽이지 않더라도 차마 구복(口腹, 먹고살기 위하여 음식을 섭취하는 입과 배)으로써 스스로 누가 되어서는 아니 되겠기에 마침내 음식을 물리쳐 옛사람이 스스로 ..

(얼레빗 4209호) 1895년 오늘 단발령 선포, 백성 저항에 부딪혀

1895년(고종 32) 오늘(11월 15일) 김홍집내각은 성년남자의 상투를 자르도록 단발령(斷髮令)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8월 20일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처참하게 시해되어 반일의식이 한층 높아진 상태에서의 단발령은 백성 사이에 기름을 부은 꼴이 되었습니다. “신체발부(身體髮膚)는 수지..

(얼레빗 4097호) 나라밖 18만 점 문화재 귀환시켜야

한국문화편지 4097호 (2019년 06월 11일 발행) 나라밖 18만 점 문화재 귀환시켜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97][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구한말 가장 앞장서 일본에 맞서 싸운 을미의병장 척암 김도화(金道和, 1825~1912)의 문집 책판이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돌을 맞아 고국으로 돌아왔다...

12월 30일 - 스스로 머리카락 자르던 여성들

1895년 12월 30일 조선엔 단발령이 내려져, 사람들의 저항이 만만치 않았습니다. 시간이 지나 단발령이 잠잠해질 무렵, 이번에는 신여성들을 중심으로 댕기머리풀기가 시작됩니다. 당시 조선 여성들은 규수(閨秀)란 말에서 보이듯, 엄격한 내외구분에 따라 집 밖으로 나올 수 없었으나 일제..

(얼레빗 3949호) 고종 32년 오늘 내린 단발령, 상투 잘리자 통곡

한국문화편지 3949호 (2018년 11월 15일 발행) 고종 32년 오늘 내린 단발령, 상투 잘리자 통곡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49][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공자와 그의 제자 증삼이 문답한 것 가운데 효도에 관한 것을 추린 《효경(孝經)》 첫 장에는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傷 孝之始也(신체발..

옥황상제도 홀린 신선이 사는 절경의 금강산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 4. “옥황상제가 금강산의 경치를 돌아보고 구룡연 기슭에 이르렀을 때, 구룡연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보고는 관(冠)을 벗어 놓고 물로 뛰어 들었다. 그때 금강산을 지키는 산신령이 나타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