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그 밖의 것 제53항 ‘ㄹ’로 시작하는 어미는 된소리로 소리가 나더라도 소리 나는 대로 적지 않는다. -ㄹ지 -ㄹ수록 -ㄹ사 -ㄹ세라 -ㄹ시고 -ㄹ진대 ‘ㄹ’로 시작하는 어미 중에서 의문을 나타내는 다음 어미들은 된소리로 적는다. -ㄹ까 오늘 어디 갈까? -ㄹ깝쇼 점심상 보아 올릴깝쇼? -ㄹ꼬 집도 없이 나..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8.28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0항 (2) 셋째, 이 두 가지 요건과 더불어 합성어를 이루는 구성 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고유어이어야 하고 구성 요소 중에 외래어도 없어야 한다는 조건이 덧붙는다. 예를 들어 ‘개수(個數)’, ‘초점(焦點)’, ‘기차간(汽車間)’, ‘전세방(傳貰房)’은 ‘갯수’, ‘촛점’, ‘기찻간’, ‘..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28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0항 (1) 이 조항에서는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조건을 규정하고 있다. 사이시옷을 받쳐 적으려면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첫째, 사이시옷은 합성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합성어가 아닌 단일어나 파생어에서는 사이시옷이 나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해님’은 명사 ‘해’에 ..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27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7항 (1) 이 조항에서는 합성어와 파생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원형을 밝혀 적을 것을 규정하고 있다. 첫째,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합성어를 이룰 때에는 단어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 예를 들어 ‘꽃’과 ‘잎’이 합성어를 이룰 때 [꼰닙]으로 소리가 나지만 단어의 원형을 밝혀 ‘꽃잎’으..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22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1절 된소리 제5항 제5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1.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소쩍새 어깨 오빠 으뜸 아끼다 기쁘다 깨끗하다 어떠하다 해쓱하다 가끔 거꾸로 부썩 어찌 이따금 2. ‘ㄴ, ㄹ, ㅁ, 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 산뜻하다 ..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4
일러두기 1. '국립국어원 해설'은 2017년 개정된 '한글 맞춤법(문체부 고시 제2017-12호)'과 '표준어 규정(문체부 고시 제2017-13호)'을 대상으로 한다. 2. 규정과 직접 관련은 없지만 이해에 도움이 될 만한 사항이나 해석에 이견이 있는 내용은 '더 알아보기'로 보충 설명을 하였다. 3. 표기와 발음을 분명..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