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병장수 5

(얼레빗 제5020호) 유지숙 명창, 황해도굿으로 기원과 덕담

마고 선녀에 천일주 늙지나 말자고 불로주요죽지나 말자고 불사주 달이나 밝다고 월광주요 날이나 맑다고 일광주이백의 기경 포도주요 뚝 떨어졌다고 낙화주삼월 하루 두견주요 이 아니 두나 좋을 소냐이 술 한 잔을 잡수시면 없는 자손은 생겨를 주고있는 자손은 수명 장수 재수나 소망도 생겨를 주마 얼마나 좋은지 모르겠네. ▲ '함경도굿'을 부르는 유지숙 명창(사진, 김동국 작가 제공) 위는 서도에서 황해도굿을 할 때 부르는 노래 가운데 ‘술타령’ 일부입니다. 황해도굿은 황해도 무당들이 때를 맞아 신령께 만물 생성과 가을걷이에 감사드리고 마을 평안은 물론 각 가정 구성원의 무사태평, 무병장수, 부귀공명, 소원성취를 비손하는 무속적 의례로 이 가운데 「술타령」은 술을 신령에게 올리면서 장수와 재수를 비는 내용이지요. ..

십장생도 병풍 기념우표

오랫동안 건강하게 살고 싶은 인간의 욕망은 동아시아에서 독특한 상징과 문화로 발달했고, 이는 예술 작품의 모티브가 되었습니다. 특히 불로장생을 뜻하는 10종류의 자연물을 가리켜 한국에서는 ‘십장생’이라 하는데, 이러한 십장생은 다양한 수공예품과 생활 도구에도 표현되어 지금까지 전해집니다. 이번 기념우표에서는 삼성그룹 고 이건희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십장생도 병풍’을 소개합니다.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상징하는 십장생은 주로 해, 산, 물, 돌, 소나무, 대나무, 구름, 영지, 거북, 학, 사슴 등의 10가지 내외의 자연물을 일컫습니다. 이 병풍에는 십장생에 신선 세계의 복숭아 ‘반도(蟠桃)’까지 더하여 화폭이 더욱 풍성합니다. 그림을 살펴보면, 10폭 병풍의 긴 화면 중심부에는 소나무들이 둔덕에..

꽃에 담은 마음

1908년 5월 10일, 한 여성이 교회 모임에 온 어머니 오백 명에게 흰 카네이션을 선물했다. 그녀의 이름은 애너 자비스. 그녀의 어머니 '자비스 부인'은 생전에 어머니를 기념하는 날을 만들자고 주장했다. 당시 미국은 남북전쟁이 끝났음에도 갈등이 만연했다. 자비스 부인은 어머니를 기념하는 날이 분열된 사람들을 이어 주리라 믿었다. 자비스 부인이 세상을 떠나자, 그녀는 어머니의 뜻을 따라 '어머니날'을 만들고자 했다. 어머니날의 상징으로 흰 카네이션을 고른 이유는 어머니가 좋아한 꽃이기 때문이다. 그녀는 말했다. "꽃의 색깔은 진리와 순수, 넓고 따뜻한 어머니의 사랑을, 향기는 어머니의 기억과 기도를 상징한다. 꽃잎을 떨어뜨리지 않고 껴안은 채 시드는 카네이션처럼 어머니도 아이를 품에 끌어안는다." 카네..

백세 시대

‘백세 시대’라는 유행어는 무병장수에 관한 사람들의 관심을 더욱 뜨겁게 달군다. 전화나 편지로 전하는 안부에는 언제나 ‘건강’이 최고의 인사말이다. 날씨가 영하로만 내려가도 오리털 가득 채운 방한복에 싸인 에스키모들이 넘쳐나고, 먼지가 많다 싶으면 빠짐없이 입마개들을 하고 거리에 나선다. 실제로 우리 주위에는 건강하게 장수를 누리는 어르신들이 많다. 흔히 장수를 축하하는 잔치에서, 칠순을 ‘고희’라고 하는 것처럼, 많은 사람들이 팔순이나 구순에도 비슷한 별칭이 있을 것이라 짐작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말에서 80살은 그대로 ‘팔순’이며, 90살은 ‘구순’이라고 하면 된다. 일부에서는 팔순을 ‘산수(傘壽)’라 하고, 구순을 ‘졸수(卒壽)’라고도 쓰는데, 이것은 모두 일본식 한자 쓰기에서 전해진 말이지 우리의..

(얼레빗 ) 영친왕비가 찼던 <쌍학문 자수 두루주머니>

국립고궁박물관에는 순종비(純宗妃) 윤황후(尹皇后)가 영친왕비(英親王妃)에게 내려주었다는 가 있습니다. 주머니 가운데에는 두 마리 학이 정면을 향하여 날아들어 긴 목을 서로 부드럽게 감고 있는 모습을 수놓았지요. 학 주변은 구름무늬로 채웠는데, 안은 금사로 메우고 무늬 가장자리를 역시 금사로 마무리했습니다. 주둥이는 주름을 잡고, 좌우로 구멍을 뚫어 남색 끈을 꿰고 거기에 매듭을 장식하여 양쪽으로 늘어뜨려 붉은색 금사로 가락지를 끼워 마무리하였지요. ▲ 영친왕비가 찼던 , 국립고궁박물관 주머니는 자질구레한 물건이나 돈 따위를 넣고 허리에 차거나 손에 들고 다니는 꾸미개로 옛날에는 남녀노소 누구나 지녔는데, 특히 대한제국 말기에 서양에서 들어온 조끼를 뺀 다른 한복에는 물건을 넣을 만한 호주머니가 없어 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