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4

(얼레빗 제4815호) ‘백두산정계비’ 표시된 <대동여지도> 환수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일본에서 환수한 를 지난달 30일 언론에 공개했습니다. 이번에 환수된 는 1864년 제작된 목판본에 가필, 색칠하고 에 기술되어 있는 지리정보를 필사(筆寫)해 더한 것으로, 와 가 하나의 지도에 담겨 있어서 목판본인 의 한계를 의 주기 내용을 필사해 보완한 처음 사례로 확인됩니다. ▲ 일본서 환수된 (전체 23첩) 는 김정호가 의 저본(底本)으로 삼았던 것으로 볼 수 있는 조선전도로, 조선시대의 교통로와 군사시설 등의 지리정보와 약 18,000여 개에 달하는 지명이 실려 있는 채색 필사본입니다. 이에 반해 는 목판으로 새겨야 하는 한계 때문에 많은 지명과 주기(註記)가 생략되어 있지요. 이번에 환수된 에서 무엇보다도 가장 주목할 것은 의 주기 내용이 대부분 필사되어 상세한 지리정보를 ..

[책에서 길을 찾다]5-짓밟히다

오늘 되새겨 볼 글도 지난 글에 이어서 이극로 님의 '고투사십년' 안에 있는 유열 님의 '스승님의 걸어오신 길'에 있는 것입니다. 월에서 제 눈에 띄는 말을 가지고 생각해 본 것을 몇 가지 말씀드리겠습니다. 백두산 기슭에서 서간도 벌판에서 중국에서 시비리아 에서 독일에서, 온갖 괴로움을 다 겪으시고 갖은 애를 다 태우시면서 경제학을 오로지 닦았음은, 거기에 벌써 남 다른 뜻과 생각이 있었던 것이었다. 그 동안에 영국으로 불국으로 아메리카로 하와이로 두르면서도, 늘 머리에는 왜족의 발 밑에서 짓밟히고 있는 삼천만 동포의 생각 뿐이었다. 세계 각처에 흩어져 있는 약소 민족들을 찾아보고 그 실정과 투쟁의 경과를 살리며 또한 여러 선배 동지와도 만나서 만리 이역의 외롭고 낯선 하늘 아래에서나마 피를 끓이며 조국..

(얼레빗 3918호) 개천절과 단군, 그리고 민족종교 대종교

한국문화편지 3918호 (2018년 10월 03일 발행) 개천절과 단군, 그리고 민족종교 대종교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18][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대종교(大倧敎)는 삼신일체(三神一體) ‘한얼님'을 신앙의 대상으로, 단군 한배검을 교조(敎祖)로 받드는 한국 고유의 종교다. 대종교의 '대종(大..

(얼레빗) 3379. 백두산은 우리 겨레, 장백산은 여진족이 부른 이름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lt;얼레빗으로 빗는 하루&gt;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9. 6. “영가사오리(英哥沙吾里)에서 서쪽으로 60리를 가면 백두산이 있는데, 산이 3층으로 되어 있다. 정수리에 큰 못이 있으니 동쪽으로 흘러 두만강이 되고, 북쪽으로 흘러 송화강이 되고,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