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경 3

깨달음의 경지를 얻은 사람, [아라한] 사진전

▲ 강향숙  ▲ 김선화 : 동네 할아버지 같은 모습 ▲ 김숙 춘천에서 발굴된 ▲ 우실 명상에 든 할아버지모습, 호랑이를 강아지처럼 ▲ 문정순 동네 할아버지들이 담소하는 듯한 모습  불교에서는 사람이 수행정진하여 부처님의 경지에 이르기까지 4단계의 깨침이 있다고 한다. 그 깨달음의 4단계는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이라고 하는데 그 4단계의 깨침을 이룩한다면 비로소 부처의 경지에 이른다고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 당시에는 부처님도 '아라한'으로 불렸다고 한다. 살아있는 사람으로서 가장 높은 경지를 '아라한과'를 체득했다고 한다. 아라한은 보통 사람의 모습이나 그 깨달음의 경지가 높은 사람들이기에 절에가면 아라한들을 별도로 모신 전각이 있는데, 이를 '나한전'('阿羅漢殿'의 줄임말)..

추사 그림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 보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추사 김정희의 마지막 난초 그림인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를 비롯해 「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 「파주 보광사 동종(銅鍾)」, 《불조삼경(佛祖三經)》 등 조선시대 불화ㆍ동종ㆍ전적 모두 4건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보물로 지정 예고된 「김정희 필 불이선란도」는 10대 때부터 묵란(墨蘭)을 즐겨 그렸던 김정희(金正喜, 1786~1856)가 난초를 서예의 필법으로 그려야 한다는 자신의 이론을 실천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다. 달준(達夋)이라는 인물에게 그려준 이 작품은 화면 가운데 난초를 옅은 담묵으로 그리고, 주변에 회화사상 보기 드문 수준의 높은 격조(格調)를 담은 제발(題跋)을 4군데에 썼다. 글씨는 여러 서체를 섞어 썼으며, 글자 모양..

중생계의 영원한 의지자 관세음보살을 찾아서

▲ 넓은 방의 한가운데 모셔진 관세음보살. 감정평가 결과로 15세기 무렵 조성된 보살상으로 조선말 혼란기에 어느 절에서인지 입수되어 박물관으로 온 보살이다. 불교의 믿음에 있어서 관세음보살은 부처님보다도 더 많이 불리우고 있으며, 그만큼 많고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조각되어 불전에 모셔져 왔다. 부처님은 진리를 깨친 분으로 모든 존재하는 것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할 목표라면, 보살은 세상에 살고있는 모든 존재들을 부처님처럼 깨달음으로 인도하거나, 세상살이에 힘들고 고달파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소원을 들어주는 존재로 부처와 사람의 중간자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관세음보살은 불교의 수많은 보살 가운데서도 가장 많이 불리우는 대표적 보살로 대승불교를 따르는 한국에는 부처님을 모시지 않고 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