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미인곡 4

(얼레빗 4494호) 위대한 문장가 정철은 굶어 죽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참된 문장은 오직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이 세 편뿐” 이는 서포 김만중이 자신의 책 《서포만필》에서 송강 정철을 평한 이야기입니다. 484년 전인 1536년 오늘(12월 18일)은 송강 정철(鄭澈, 1536~1994)이 태어난 날이지요. 정철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많은 한글 가사 작품을 남겼는데 이 작품들을 모아 엮은 책이 《송강가사》입니다. 임금(선조)에 대한 충정을 여인의 심경으로 표현한 , , 백성들을 계몽하고 교화하기 위해 지은 등이 《송강가사》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 송강가사(松江歌辭)》 - 왼쪽 / 《송강가사》에 수록된 사미인곡(국립중앙도서관) ”정철은 그 마음이 정직하고 그 행동은 올바르며 그의 혀는 곧 직언함으로써 사람들에게 미움을 줄 뿐이며, 직에 임하여서..

(얼레빗 4311호) 우리말로 시문을 써야 한다고 한 김만중

서포(西浦) 김만중(金萬重)은 ‘국문가사예찬론’에서 “우리말을 버리고 다른 나라의 말을 통해 시문을 짓는다면 이는 앵무새가 사람의 말을 하는 것과 같다.”라고 하였습니다. 또 그는 한문을 ‘타국지언(他國之言, 다른 나라의 말에 불과함)’으로 보았으며, 정철(鄭澈)이 지은 <사..

(얼레빗 3989호) 송강 정철이 말한 늙어 잘 할 수 있는 일이란?

한국문화편지 3989호 (2019년 01월 10일 발행) 송강 정철이 말한 늙어 잘 할 수 있는 일이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89][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明時自許調元手(명시자허조원수) 밝은 때라 스스로 정승감이라 자부했었는데 晩歲還爲賣炭翁(만세환위매탄옹) 늘그막에 도리어 숯을 파는 노..

12월 6일 - 송강이 사랑하던 여인 강아아씨가 떠오릅니다

이 몸이 생겨날 제 임을 좇아 생겨나니 한평생 연분이며 하늘 모를 일이런가 나 오직 젊어 있고 임 오직 날 사랑하시니 이 마음 이 사랑 견줄 데 전혀 없다 평생 원하기를 함께 지내자 하였더니 늙어서야 무슨 일로 외로이 두고 그리는고 엊그제 임을 모셔 광한전에 올랐더니 그 사이 어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