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중앙박물관 고려관에 있는 고려시대 범종 ▲ 범종의 옆면 ▲ 범종 위 용뉴 부분 용트림 모양 ▲ 입을 벌린 용이 힘차게 하늘을 나는 모습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각도에서 본 범종 용뉴 부분 ▲ 몸통 윗부분의 연꽃과 유두장식, 아래에는 천상에서 내려오는 불상이 있다. ▲ 임금님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기원문과 종을 만든 때를 기록한 명문 경기도 여주시 금사면 상품리 어느 계곡에서 발견된 고려시대 범종이다. 이 범종은 요즈음 절에서 만드는 범종보다는 작지만 전체높이가 1.2m 정도 되어보이는 종으로 그리 작지도 않다. 이 범종은 『청녕 4년』이라는 연호가 새겨진 것으로 보아 고려 문종 12년(1058)에 만들어진 것이다. 이 범종은 전체적인 형상은 신라시대 범종의 구성과 조형감을 유지하고 있다. 종의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