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5일 - 우리 술 이야기 셋, 빚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한국 전통술 우리 전통술을 제조방법에 따라 나눠보면 속성주, 감주, 가향주, 약용약주, 혼성주, 혼양주, 이양주 따위가 있습니다. 전통 사회에서는 제사용 술과 농사용 술을 늘 갖춰두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집안에 큰일이 있어 갑자기 많은 손님을 대접해야 할 때는 많은 양의 술을 한꺼번에 빨리 빚.. 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2018.03.25
3월 23일 - 우리 술 이야기 하나, 바위틈 맑은 물과 녹두가루로 빚은 향온주 우리 전통술은 참 다양했습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일제가 그 맥을 끊어 잊힌 것들이 많지요. 그러나 곳곳에 전승돼 오는 것들이 그나마 남아 있어서 다행입니다. 향온주(香醞酒)도 바로 그 가운데 하나인데 서울무형문화재 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특히 향온주는 임금이 마시고 신하에.. 지난 게시판/하루하루가 잔치로세(김영조) 2018.03.23
(얼레빗) 3412. 중국ㆍ일본 술을 저만치 따돌릴 만한 한국 전통술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25 “조선의 술은 붉거나 흰색으로 쌀이나 밀 따위 곡물로 빚어내며, 발효하기 전 단계에 불붙은 숯을 집어넣음으로써 맑은 빛깔을 낸다. 그것은 질적인 면에서 중국이나 일본의 술을 저만..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16.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