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치막 7

(얼레빗 제5048호) 임진왜란 전에 사대부가들이 입던 중치막

경북 문경에 있는 ‘문경옛길박물관’에 가면 국가민속문화재 이 있습니다. 이 유물은 지난 2006년 경북 문경시 영순면에 있는 전주최씨 무덤을 이장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것입니다. 최진(崔縝)과 그 부인, 그리고 후손으로 추정되는 3기의 무덤에서 발견된 유물은 중치막, 액주름(겨드랑이 아래 주름이 잡혀 있는 곧은 깃의 옷), 족두리형 여모, 저고리, 바지 등 모두 65점이지요. 특히 ‘중치막(中致莫)’과 ‘족두리형 여모(女帽)’는 지금까지 발굴된 출토복식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보입니다. 중치막은 사대부가 사람들이 나들이할 때 입던 옆트임이 있는 곧은 깃의 도포(袍)로, 현재까지 발견된 것은 대부분 임진왜란 이후의 것이었으나 이 중치막은 임진왜란 전 것이라는 점에서 이 시기 복식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

(얼레빗 4621호) 신윤복 그림 ‘월하정인’에는 월식이 보인다

조선 3대 풍속화가 가운데 신윤복의 풍속화 국보 제135호 '혜원풍속도첩(蕙園風俗圖帖)'에는 남녀의 선정적인 장면, 곧 양반ㆍ한량의 외도에 가까운 풍류와 남녀 사이의 애정이 적나라하게 표현되었습니다. 이 그림은 현재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었는데 이 '혜원풍속도첩‘은 , , , , 등 모두 30점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 가운데 ‘월하정인(月下情人)’이란 그림은 늦은 밤 담 모퉁이에서 밀회를 즐기는 한 쌍의 남녀를 그렸지요. 넓은 갓에 벼슬하지 못한 선비가 입던 겉옷인 중치막을 입은 사내와 부녀자가 나들이할 때, 머리와 몸 윗부분을 가리어 쓰던 쓰개치마를 쓴 여인이 초승달 아래서 은밀하게 만나는 장면입니다. 그림 가운데 담벼락 한쪽에는 "달은 기울어 밤 깊은 삼경인데, 두 사람 마음은 두 사람이 안다(月沈沈夜三..

(얼레빗 4570호) 저고리 위에 입었던 두루마기ㆍ도포ㆍ중치막

옛사람들은 나들이할 때 바지저고리 위에 겉옷을 걸치는데 이 겉옷으로 많이 입던 것에는 두루마기를 비롯하여, 도포와 중치막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두루마기, 도포, 중치막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먼저 ‘두루마기’는 소매가 좁고 직령교임식(直領交袵式) 곧 깃은 곧고 섶은 겹치도록 옷을 여미는 방식이며, 양옆 겨드랑이에 무(옷감을 덧대 것)를 달고, 길이는 발목에서 20~25cm 정도 올라옵니다. ▲ 두루마기,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문화상자’ 또 도포는 깃이 곧고 소매폭이 넓으며, 옷 뒷면에 옷자락이 하나 더 붙어 있어 터진 곳을 가려주며, 품도 넓으며 길이도 길어서 발목까지 미칩니다. 여기에 도포는 특이하게 세조대(細絛帶)라 하여 가느다란 띠를 대는데 대의 끝에 술을 달고 품위에 따라 색깔을 다르게 하였습..

(얼레빗 4497호) 남자아이들이 돌 때 입었던 “사규삼”

예전 어린아이들이 평상시 입던 한복 가운데 “사규삼(四揆衫)”이 있습니다. 사규삼이란 옷자락이 네폭으로 갈라져 있는 데서 나온 이름이라 생각됩니다. 또 사규삼을 “결과복(缺骻服)”이라고도 하는데, 결과복이란 원래 중국에서는 싸움터에서 입는 옷으로 일종의 융복이라 할 수 있지요. 이것이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남자아이의 예복 비슷한 구실을 하게 된 것입니다. ▲ 남자아이의 관례 때나 돌 때에 입었던 사규삼(四규衫), 경운박물관 조선 후기의 학자 이재(李縡)가 펴낸 관혼상제의 사례(四禮)에 관한 책 《사례편람 四禮便覽》 관례조(冠禮條)에서는 “남색의 명주 옷감으로 빚는다. 옷깃은 여미게 되어 있고, 소매는 둥글며, 갓을 트고 뒤를 쪼개었다. 비단으로 깃과 소매끝 그리고 옷자락 양 갓과 밑 가장자리를 둘렀다. 선..

한복의 멋 기념우표

우정사업본부는 한복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기 위해 2019년 9월, 시대별 여성 한복을 주제로 한 ‘한복의 맵시’ 기념우표를 발행하였습니다. 올해는 1500년대 조선 중기부터 1900년대 대한제국에 이르는 시대별 남성 한복을 주제로 한 ‘한복의 멋’ 기념우표를 발행합니다. 한복은 기본적 요소를 그대로 유지한 채 고유한 형태로 발전해 왔습니다. 남성은 기본 옷인 저고리, 바지와 겉옷인 포(袍: 긴 외투)를 덧입었으며, 그 외에 바지 착용을 마무리할 때 필요한 허리띠와 대님, 버선, 신발 등을 착용하고 외출할 때는 포에 맞는 모자를 갖추어 썼습니다. 기념우표는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전통 복식 유물을 참조하여 시대별 남성의 전통 복식 변천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조선시대는 엄격한 신분제도에 따른 규..

(얼레빗 3839호) 미라와 함께 발견된 어른과 아이의 중치막

한국문화편지 3839호 (2018년 06월 14일 발행) 미라와 함께 발견된 어른과 아이의 중치막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839][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의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미라에서 사람들의 관심을 끈 것은 ..

한국문화신문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7호

한국문화편지 3507호 (2017년 03월 03일 발행) 임진왜란 이전 중치막을 볼 수 있는 출토복식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07]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옛 사람들이 입었던 옷은 지금 남아 있는 것이 없어서 문헌이나 벽화에 남아 있는 그림 따위로 짐작할 따름입니다. 다만, 옛 사람들의 무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