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왁박새기 3

아름다운 우리문화 산책 - 김영조

시, 음악, 그림, 풍속으로 보는 한국 전통문화를 주제로 한갈 김영조님이 쓴 책이다. 한갈 김영조님은 한국 문화와 역사, 민족만을 다루는 인터넷 언론 『신한국문화신문』(http://koya-culture.com/) 발행인. 우리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는 글쓰기와 강연을 하고 있다. 날마다 쓰는 인터넷 한국문화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를 1만여 명에게 보내고 있으며, 2017년 3월 31일로 3,527회를 기록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하루하루가 잔치로세』를 비롯하여 『나눔을 실천한 한국의 명문 종가』, 『키질하던 어머니는 어디 계실까?』, 『아무도 들려주지 않는 서울문화 이야기』, 『맛깔스런 우리문화 속풀이 31가지』, 『신 일본 속의 한국문화답사기』(공저) 등을 펴냈다. 목차 머리..

제주 해녀들의 생명줄, 태왁박새기

제주 해녀들의 생명줄, 태왁박새기 ‘태왁박새기’란 해녀가 바다에서 작업할 때 몸을 의지하여 쉬기도 하고, 작업하는 위치를 알려주기도 할뿐만 아니라, 망사리를 매달아 채취한 해산물을 물 위에 띄워 놓기도 하는 뒤웅박을 말합니다. 흔히 ‘태왁’이라고만 말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박새기’는 바가지를 이르지요. 잘 여믄 박을 파내어 작은 구멍을 뚫고 그 속의 씨를 빼낸 다음 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구멍을 막아둔 것이기 때문에 물에 잘 뜹니다. 하나의 태왁을 만들기 위해 해녀들은 2월에 흙을 파고 밑거름을 해두었다가 3월 삼짇날에 박씨를 심습니다. 해녀들의 정성이 헛되지 않아 6월 하순께가 되면 지붕 위나 주저리(덤불)에 박이 주렁주렁 열리지요. 해녀들은 바다에서 작업할 때 대개 두 사람이 짝을 이룹니다. 특히 ..

(얼레빗 4575호) 300년 전 옛그림에 물질하는 해녀

2016년 ‘제주 해녀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올랐고, 2017년 5월에는 국가무형문화재 제132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수심 10m 이내의 얕은 바다에서 소라ㆍ전복ㆍ미역ㆍ톳ㆍ우뭇가사리 등을 채취하며, 가끔 작살로 물고기를 잡기도 하는 해녀는 전 세계에서 제주와 울릉도, 일본 일부 지역에만 있다고 하지요. 이 해녀를 옛날에는 잠녀(潛女) 혹은 잠수(潛嫂)라 했는데 300년 전인 1702년의 그림에 잠녀의 모습이 있습니다. ▲ ‘병담범주(屛潭泛舟)’ 가운데 물질하는 잠녀의 모습이 보인다. 국립제주박물관에 가면 1702년 제주목사 이형상(李衡祥)이 화공 김남길(金南吉)을 시켜 그린 기록화첩 가 있는데 18세기 초 제주의 삶과 역사를 고스란히 담은 귀중한 문화유산입니다. 여기에 수록된 그림 41면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