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4항 국어에서는 동일한 모음이 연속될 때 한 모음으로 줄어드는 일이 있다. 이렇게 줄어드는 현상은 필수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나타나지 않기도 한다. 먼저, 모음 ‘ㅏ, ㅓ’로 끝나는 어간에 어미 ‘-아/-어’, ‘-았-/-었-’이 결합할 때는 ‘ㅏ/ㅓ’가 줄어든다. 따-+-아→따 따-+-았-+-다→..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8.02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19항 (2) [붙임] ‘-이’, ‘-음’이 아닌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가 결합한 경우에는 어간의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 이러한 접미사는 결합하는 어간이 제약되어 있고 더 이상 새로운 말도 만들어 내지 못한다. ① 명사로 된 것 너머(←넘- + -어) 뜨더귀(←뜯- + -어귀) 마감(←막- + -암) 마개(←..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09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8항 (6) < 더 알아보기 > • '-거라/-너라 불규칙'의 소멸 '가다'와 '오다'에는 일반적인 명령형 어미 '-아라/-어라' 대신에 '-거라'와 '-너라'가 결합한다고 본 적이 있다. 하지만 현재는 '-아라/-어라'와 '-거라', '-너라'가 의미와 어감이 다르다고 보아 '가라( ← 가- + -아라), 가거라'와 '와라( ← ..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7.07
제1장 총칙 제1항 ■ 한글 맞춤법 해설 제1항 -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이 조항은 한글 맞춤법의 대원칙을 밝히고 있다.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가 기본 원칙이라면, "어법에 맞도록 함"은 또 다른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는다...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