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0항 (2)

튼씩이 2019. 7. 28. 09:25




셋째, 이 두 가지 요건과 더불어 합성어를 이루는 구성 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고유어이어야 하고 구성 요소 중에 외래어도 없어야 한다는 조건이 덧붙는다. 예를 들어 개수(個數)’, ‘초점(焦點)’, ‘기차간(汽車間)’, ‘전세방(傳貰房)’갯수’, ‘촛점’, ‘기찻간’, ‘전셋방으로 잘못 쓰는 일이 많지만 여기에는 고유어가 들어 있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오렌지빛, 피자집과 같은 경우에는 오렌지’, ‘피자라는 외래어가 들어 있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이와는 달리 아래의 예들은 조항에 따라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예들이다.

 

     값: 절댓값[절때깝/절땓깝],    덩칫값[덩치깝/덩칟깝],       죗값[ː/ː]

     길: 등굣길[등교낄/등굗낄],    혼삿길[혼사낄/혼삳낄],       고갯길[고개낄/고갣낄]

     집: 맥줏집[맥쭈찝/맥쭏찝],    횟집[ː/ː],           부잣집[ː자찝/ː잗찝]

     빛: 장밋빛[장미삗/장믿삗],    보랏빛[보라삗/보랃삗]         햇빛[해삗/핻삗]

     말: 혼잣말[혼잔말],                 시쳇말[시첸말],                    노랫말[노랜말]

     국: 만둣국[만두꾹/만둗꾹],    고깃국[고기꾹/고긷꾹],        북엇국[부거꾹/부걷꾹]

 

한자어에는 규정에서 제시한 두 음절 단어 6개에만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그 외의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경우 모두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

 

     외과(外科)      이비인후과(耳鼻咽喉科)      국어과(國語科)      장미과(薔薇科)

 

장미과와 마찬가지로 생물 분류학상의 단위인 ()’가 결합한 말이라도, 앞에 고유어가 오는 고양잇과’, ‘소나뭇과와 같은 경우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간다. 고유어 고양이, 소나무와 한자어 가 결합한 합성어이므로 사이시옷을 적는 것이다.

 

     고양잇과[고양이꽈/고양읻꽈]               멸칫과[멸치꽈/멸칟꽈]

     소나뭇과[소나무꽈/소나묻꽈]               가짓과[가지꽈/가짇꽈]

 

< 더 알아보기 >

 

  • 의 사이시옷 표기

 

  ‘가 한자어이면 찻잔, 찻종, 찻주전자茶盞, 茶鍾, 茶酒煎子와 같은 한자어이므로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 그렇지만 를 고유어라고 하면 고유어+한자어구성이므로 사이시옷을 넣어야 한다. 현재는 를 고유어로 보고 있으므로 찻잔, 찻종, 찻주전자와 같이 적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