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게시판/우리말은 재미있다(장승욱)

147 – 오글보글

튼씩이 2019. 9. 13. 18:33

여름이라는 말은 너름녀름여름의 변천사를 겪었다고 한다. 너름의 어근은 인데, 이는 ()’과 같은 뿌리에서 나온 말이다. 여름을 뜻하는 일본말 나쓰(natsu), 태양(太陽)을 뜻하는 몽골말 나라(nara) 역시 이라는 어근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한다. 여름은 날, 즉 태양의 계절인 것이다. 1978년 열린 TBC 해변가요제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징검다리의 <여름>, 그 노랫말에 따르면 여름은 젊음의 계절, 여름의 사랑의 계절이다. 젊음과 사랑과 태양의 공통점은 뜨거움이다. 뜨겁지 않은 젊음, 뜨겁지 않은 사랑이 어디 있으랴. 만약 있다면 그건 가짜 젊음이고 가짜 사랑일 것이 분명하다.

 

여름은 뜨겁다. 뜨거워서 여름이다. 그래서 여름은 뜨거운 젊음과 뜨거운 사랑의 현장이 된다. 재야 언어학자 장 아무개의 주장에 따르면, 여름은 () + ()’ 또는 () + ()’열음이 형태를 바꾼 것이다. 여름은 뜨거움()이 클수록 그늘()도 짙어지는 계절이다. 그리고 여름의 뜨거운 소리들, 그래서 여름을 여름답게 하는 소리들, 보글보글, 바글바글, 지글지글, 와글와글, 오글보글, 그리고 소리는 아니지만 이글이글.

 

여름은 +’, 여름의 옛말인 너름은 +에서 비롯된 말이다. ‘열다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널다볕을 쬐거나 바람을 쐬기 위하여 펼쳐 놓다라는 개방(開放)의 의미를 가진 말이다. ‘열음’, 열려 있음이라는 뜻을 가진 여름은 뜨거움의 계절인 동시에 열림의 계절인 것이다. 여름에는 문이 열리고, 해수욕장이 열리며, 무엇보다 사람들의 마음이 열린다. 그래서 여름은 무전여행의 계절이기도 하다. 문이 열리면 잠자리가 해결되고, 사람들의 마음이 열리면 끼니가 해결된다. 그렇지 않더라고 여름은 침대가 되고 이불이 되어 무전(無錢)의 육체들을 품어준다. 어렵사리 들어간 대학을 탱크를 앞세우고 들이닥친 계엄군에게 빼앗겼던 그해 여름, 나는 자전거 짐받이에 늘 버겁기만 한 청춘(靑春)을 싣고 전국을 떠돌았다. 몇 푼 뱃삯이 없어 제주 탑동의 방파제에서 지새운 노숙의 밤들을 떠올리면 여름에 고마워하지 않을 수 없다. 비록 연대 단위의 모기떼를 함께 보내주기는 했지만 말이다.

 

 

오글보글 () 좁은 그릇에서 적은 양의 물이나 찌개 따위가 거품을 일으키며 자꾸 요란스럽게 끓어오르는 소리. 또는 그 모양.

 

쓰임의 예 이미 저만치 사라진 슬픔과/가까이 자리 잡은 고독을 양념하여/오글보글 끓여 내면/투박한 기명에 담아도/제 맛을 제대로 아는/()이여, 너를 읽는다. (홍해리의 시 <()을 읽다>에서)

 

 

이 말만은 꼭 갈무리하자

 

널다 볕을 쬐거나 바람을 쐬기 위하여 펼쳐 놓다.



'지난 게시판 > 우리말은 재미있다(장승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9 – 도사리  (0) 2019.09.15
148 – 사리다  (0) 2019.09.14
146 – 불땀  (0) 2019.09.12
145 – 말밑  (0) 2019.09.11
144 – 모꼬지  (0) 201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