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널리 알린 '한글맞춤법통일안'의 올바른 적용을 위한 표준어의 제정을 위해 조선어학회는 자주 쓰는 낱말 9,547개를 골랐고 1934년 온 나라 대표 40명으로 ‘조선어표준어사정위원회를 꾸렸습니다. 이를 통해서 조선어학회(지금의 한글학회)가 1936년 10월 28일 한글반포 490회 기림날에 표준어 낱말모음집 《조선어표준말모음》을 펴냈습니다.
▲ 《조선어표준말모음》, 1936, 조선어학회
당시 우리나라에서 쓰이는 말은 곳에 따라 다르고 신분에 따라 달라서, 이러한 말 가운데서 어느 하나를 가리어 표준말로 제정하지 않고서는 모처럼 규정한 맞춤법을 따를 수 없었지요. 본보기를 들면, ‘줍다[拾]’라는 말이 ㄱ이라는 곳에서는 ‘줍다, 줍고, 주워’로 쓰고, ㄴ이라는 곳에서는 ‘줏다, 줏고, 줏어’로, ㄷ이라는 곳에서는 ‘줏다, 줏고, 주어’와 같이 달리 쓰였습니다. 따라서 이 세 갈래의 말 가운데서 어느 하나를 표준말로 정하고, 이 표준말을 배움말 또는 공용어로 쓸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맞춤법의 규정을 세우지 않으면 안 되었지요.
그래서 펴낸 《조선어표준말모음》은 본문 122쪽, 찾아보기(색인) 117쪽 안팎으로 표준어 6,231개, 줄임말 134개, 비표준어 3,082개, 한자말 100개로 바로 잡은 9,547개를 실었지요. 같은 말, 비슷한 말, 줄임말 순서로 벌여 놓았는데 우리말을 처음 과학적으로 정리해 표준어를 제정한 점에서 큰 뜻이 있습니다. 1936년에 초판을 펴낸 뒤에 1945년 광복 전에 3판을 펴내고 광복 뒤에 다시 몇 판을 거듭하여 우리나라 삶꽃(문화) 발전에 이바지한 공은 정말 대단하였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훈 교수의 환경이야기, 기온 섭씨 1.5도가 중요한 까닭 (4) | 2024.10.31 |
---|---|
(얼레빗 제5019호) 스마트폰 대신 ‘슬기말틀’로 쓰면 어떨까? (1) | 2024.10.30 |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55,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파랗다’와 ‘푸르다’ (0) | 2024.10.25 |
(얼레빗 제5017호) 일본에 반출되었다가 돌아온 경천사 십층석탑 (1) | 2024.10.25 |
(얼레빗 제5016호) 오늘 상강, 서리 맞은 국화가 향이 진하다 (1) | 202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