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에는 국보 ‘청동 은입사 물가풍경무늬 정병‘이 있습니다. 정병은 맑은 물을 담아두는 병으로, 원래 승려가 지녀야 할 열여덟 가지 물건 가운데 하나였으나 점차 불전에 바치는 깨끗한 물을 담는 그릇으로 쓰였습니다. 또 불교의식을 할 때 쇄수게(灑水偈, 관음보살을 찬탄하는 소리)를 행하면서 의식을 이끄는 승려가 솔가지로 감로수를 뿌림으로써 모든 마귀와 번뇌를 물리치도록 할 때 쓰이기도 합니다.
▲ 고려시대인 12세기에 만들어진 국보 ’청동 은입사 물가풍경무늬 정병‘, 높이 37.5 cm
정병은 주로 물가의 풍경을 담아냈는데, 언덕 위로 길게 늘어진 버드나무 또는 물 위로 노를 저어가는 어부와 낚시꾼 등이 마치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합니다. 이 모든 풍광이 표면에 홈을 파서 은선을 두드려 박는 은입사 기법으로 장식되었지요. 병의 긴 목에는 구름무늬, 동체의 어깨와 굽 주위에는 법회나 설법 때, 뿔이나 대, 나무 따위로 호미 모양으로 만들어 승려들이 지니는 작은 막대기인 여의두 무늬, 귀때(주전자의 부리처럼 액체를 따를 수 있는 구멍)에는 풀무늬가 새겨졌습니다.
은을 돌린 굽은 지금은 파랗게 녹슨 몸체와 어울려 묘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지요. 청동제의 병에 은상감을 한 이러한 기법이 고려청자에도 쓰인 것입니다. 높이 37.5cm, 지름 12.9cm의 이 국립중앙박물관의 국보 ‘청동 은입사 물가풍경무늬 정병‘은 물체에 장식을 새겨넣는 상감기법이 발달하였던 고려 전기 11세기 무렵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5037호) 슬기말틀에 빠져 책을 외면하는 세태 (6) | 2024.12.11 |
---|---|
(얼레빗 제5036호) 대한민국임시정부, 일본에 선전포고하다 (1) | 2024.12.09 |
암반온도가 200도, 터널공사에 강제동원 조선인 (1) | 2024.12.07 |
우리 토박이말의 속살 5 – ‘깨닫다’ (1) | 2024.12.06 |
대한민국, 세계 으뜸 기후 악당됐다 (3) | 2024.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