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524호) 연간 3천여 명의 학생들이 전수받는 임실 필봉농악

튼씩이 2017. 3. 28. 16:54

한국문화편지

3524호 (2017년 03월 28일 발행)

연간 3천여 명의 학생들이 전수받는 임실 필봉…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24]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농악 곧 풍물굿은 지역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크게 경기농악ㆍ영동농악ㆍ호남우도농악ㆍ호남좌도농악ㆍ경상도농악으로 나뉩니다. 농악은 국가무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진주삼천포농악(晋州三千浦農樂, 제11-가호), 평택농악(平澤農樂, 제11-나호), 이리농악(裡里農樂, 제11-다호), 강릉농악(江陵農樂, 제11-라호), 임실필봉농악(任實筆峯農樂, 제11-마호) 등 다섯 지방의 농악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2014년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에 오른 바 있습니다. 그 가운데 가장 활발한 임실 필봉농악은 전북 임실 강진면 필봉리에 전승되고 있…
밥 짓는 솜씨 하나로 벼슬을 받은 이인수와 이교
경복궁의 풍기대 무엇에 쓰던 것인고?
여자성기 모양이 새겨진 경주 석장동 암각화
깊고 그윽한 성덕대왕신종 소리를 들어볼까요?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중국말 하는 형과 조선말 하는 아우의 대화 / 박은화 석화시인이 전하는 연변이야기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석화 시인] 연변의 석화시인은 “연변이야기” 연재를 시작합니다. “연변이야기”는 중국조선족 민중들의 사는 이야기입니다. 모…
[시가 있는 풍경 48] 부부송(夫婦松)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명호 시인] 부부송(夫婦松) 세월이 곰삭아서 우연도 필연 되고 애증도 다듬어져 담백한 사이려니 너와 나 그저 그렇게 한 천…
봄기운을 가득 담은 국악 브런치 콘서트 국립국악관현악단 ‘정오의 음악회’ 브로드웨이와 한국…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극장(극장장 안호상) 전속단체 국립국악관현악단(예술감독 임재원)이 오는 4월 12일(수) 낮 11시 국립극장 해오름…
사슴 장식 구멍단지, 무엇에 쓰인 물건인고?
수십 년 동안 나방에 빠져 살았다네
싸전ㆍ베전ㆍ소전에서의 뜬금과 “뜬금없다”
봄봄봄~봄이 왔어요! <한강봄꽃축제>로 초대
[시가 있는 풍경 47] 봄앓이
동생에게 나는 5대차 독신이라고 말하는 놀부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08] 봄 참새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봄 참새 어디서 솟아 났나 너희가 반갑구나…

국악 속풀이

더보기
네 이놈 흥보놈아! 굶고 먹고 내 모… [국악 속풀이 308]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전곡간이나 얻을 생각으로 놀부…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일본어 로마자 표기 2020년부터… [맛 있는 일본 이야기 392]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부산이라던가 대구를 영어로 표기할 때 과거에는…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봄기운을 가득 담은 국악 브런치 콘서트
섬네일
앙상블의 섬세한 선율로 모차르트의 음…
섬네일
잃어버린 자아를 찾으려 인물과 개구리…
섬네일
수십 년 동안 나방에 빠져 살았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