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담배는 백해무익, 하지만 나 역시 피운다

튼씩이 2015. 12. 12. 20:30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8(2015). 12. 9.



“원래 담배는 다른 나라에서 전해진 것이지만, 지금은 우리나라 담배 품질이 온 세상의 으뜸이 되었다. 그러나 담배의 폐해로 말하자면 좋은 땅이 담배 심는데 허비되고, 옥과 금 따위 보석이 담배 피우는 도구로 쓰이고 있다. 담배의 쓰임새란 뭇 사람들이 심심함을 때우는데 지나지 않으니 무익한 물건으로 말하자면 담배보다 더한 것이 없을 정도다. 하지만, 담배 피우는 습속이 고질이 되어 급기야 없애기가 어렵게 되었다.”

위는 조선 말기의 문신 이유원(李裕元, 1814~1888)이 자신의 책 《임하필기(林下筆記)》의 “담배의 시말”이란 글에서 쓴 내용입니다. 이유원은 담배가 백해무익한 것이라고 조목조목 지적합니다. 하지만, 그는 글을 끝맺으면서 “나 역시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다. 지금 담배를 입에 물고 이 글을 쓰는 것이다.”라고 말합니다. 애연가이면서 담배 피우는 것을 비판한 것이지요.

이 담배는 우리나라에 언제 들어왔을까요? 《인조실록》 16년(1638) 8월 4일 기록에 보면 담배에 대한 이야기가 상세히 나옵니다. “담배는 병진(1476) ·정사 연간부터 일본에서 건너와 피우는 자가 있었으나 많지 않았는데, 신유(1477) ·임술년 이래로는 피우지 않는 사람이 없어 손님을 대하면 번번이 차(茶)와 술을 담배로 대신하기 때문에 혹은 연다(煙茶)라고 하고 혹은 연주(煙酒)라고도 하였고, 심지어는 종자를 받아서 서로 거래까지 하였다. 오래 피운 자가 유해무익한 것을 알고 끊으려고 하여도 끝내 끊지 못하니, 세상에서 요망한 풀이라고 일컬었다" 요망한 풀이라고 했던 담배는 들어온 지 5년 만에 널리 퍼졌다고 하지요.

-------------------------------------------------------
< 일본이야기 327 >

일본 연말연시를 꾸미는 시메카자리와 카도마츠



이제 슬슬 일본 거리에 시메카자리(注連飾り) 장식품이 나올 시간이다. 시메카자리는 연말에 집 대문에 매다는 장식으로 짚을 꼬아 만든 줄에 흰 종이를 끼워 만드는데 요즈음은 슈퍼 따위에서 손쉽게 살 수 있다. 이러한 장식은 농사의 신(稻作信仰)을 받드는 의식에서 유래한 것인데 풍년을 기원하고 나쁜 액운을 멀리하려는 뜻으로 신도(神道)에서 나온 것이라는 설도 있고 한편으로는 일본의 국신(國神)인 천조대신(天照大神)과 관련된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시메카자리는 12월 말에 내달고 지역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개 1월 7일 이후에 치우는 게 보통이다. 관서지방에서는 1월 15일에 치우고, 미에현(三重縣 伊勢志摩) 같은 지방에서는 1년 내내 장식하는 곳도 있는 등 곳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또한 연말장식으로 카도마츠(門松)도 빼놓을 수 없는데 이것은 12월 13일에서 28일 사이에 집 앞이나 상가 앞에 세워두고 치우는 것은 1월 15일 전후다. 시메카자리나 카도마츠의 설치와 치우기는 가능하면 지정 된 날에 맞추는 게 좋으며 이를 어기면 복이 반감된다고 믿고 있다. 카도마츠는 일본의 고전 작품인 즈레즈레구사 (徒然草,1330년)에 “큰 길에 카도마츠가 서 있어 화려한 분위기이다”라고 쓰여 있을 정도로 역사가 오래된 풍습이다.

그런가하면 정초에 카가미모치(鏡餠)를 장식하는 풍습도 있다. 이것은 위의 두 장식이 집밖에 세우는 것에 견주어 집안에 장식하는 풍습이다. 카가미모치란 한자에서 보듯이 ‘거울떡’이다. 거울은 예부터 일본에서 삼종의 신기(三種の神器)라고 해서 신성시 하던 물건인데 이러한 둥근 거울이 오늘날은 떡으로 변형되어 눈사람 모양의 찹쌀떡을 정초 집안의 중요한 곳에 장식하는 풍습으로 정착된 것이다.

서양의 성탄장식이나 일본의 여러 장식들은 결국 신을 기쁘게 하고 거기서 인간의 행복과 즐거움을 얻고자 하던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오늘날 성탄 장식은 종교색을 많이 털어낸 느낌이다. 백화점이나 역, 대형 수퍼나 관공서 현관에도 성탄 장식이 내걸리는 것을 보면 그런 생각이 든다. 일본의 시메카자리나 카도마츠, 카가미모치 같은 것도 예전의 신앙적 의식에서는 다소 멀어진 느낌으로 하나의 전통 문화로 남아 있을 뿐이라는 사람들도 있다. 어쨌거나 지금쯤 일본의 쇼핑센터에는 연말연시 장식을 위한 다양한 장식물들이 선보일 때이다.

* 일본한자는 구자체로 썼습니다.

.

.

이윤옥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59yoon@hanmail.net)

소장 김영조 ☎ (02) 733-5027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5가길3-1. 영진빌딩 703호
koya.egreennews.com, pine996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