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570호) 백제 장군과 병사들을 위로하는 제사 “은산별신제”

튼씩이 2017. 5. 31. 18:35

한국문화편지

3570호 (2017년 05월 31일 발행)

백제 장군과 병사들을 위로하는 제사 “은산별…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70]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 마을에는 별신당이라는 사당이 있습니다. 이 사당에서는 3년에 1번씩 1월 또는 2월에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라는 큰 제사를 지냅니다. 이 사당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9호 “은산별신제”를 지내게 된 데는 특별한 까닭이 있는데 이 은산 마을에는 한 때 큰 병이 돌아 많은 사람이 죽어나갔습니다. 그런데 이 때 마을 한 어른이 꿈을 꾸게 됩니다. 그 꿈에는 백제를 지키다 억울하게 죽은 장군이 나타나 병을 없애 줄 테니, 자신과 부하들을 양지바른 곳에 묻어 달라고 했습니다. 이 어른이 꿈에서 깨어 장군이 말한 곳으로 가 보니 오래된…
처마를 길게 내밀 수 있게 지은 “화암사 극락전”
조선시대 어린이 교재 《아희원람》을 아십니까?
신라 지증왕 2년(501년)에 세운 ”포항 중성리 신라비”
화가의 생각을 잘 드러내는 한국화, 그 종류는?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중국인으로 독립운동에 뛰어든 여성 '송정헌 지사' 김구 주석 경호실장인 유평파 선생의 부인 송정헌 지사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송정헌 애국지사(1919~2010)는 중국인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1990년 대한민국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
박정욱 그는 배뱅이굿을 부르기 위해 태어났는가? [국악속풀이 317]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해학(諧謔)이 넘쳐나는 휘모리잡가”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사설이 재담에 가까운 내용을 담고 있…
엄마네 집의 “고독을 위한 의자” / 구순희 석화시인이 전하는 연변이야기 6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석화 시인] “홀로 있는 시간은 쓸쓸하지만 / 아름다운 호수가 된다 / 바쁘다고 밀쳐두었던 나 속의 나를 / 조용히 들여다 볼 수 있으므…
재미난 초보운전 스티커, “초보예요 말이나 탈걸”
연기ㆍ풍물굿ㆍ소통으로 관객을 사로잡은 마당놀이
서울 영등포공원서 단오잔치 열려
불교문화 유무형의 소리에 담긴 참뜻은 무엇인가?
[전시] 우아하고 화사한 꽃과의 만남 '강사희전'
작은 것이 아름답다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17] 누에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누 에 이제는 돌기름이 누에를 내쫓았고…

국악 속풀이

더보기
박정욱 그는 배뱅이굿을 부르기 위… [국악속풀이 317]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해학(諧謔)이 넘쳐나는 휘모리…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무명작가 미야자와 겐지는 죽어서… [맛있는 일본이야기 l 402]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비에도 지지 않고 바람에도 지지 않고 눈보라…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창경궁에 울려 퍼지는 희망의 연주
섬네일
연기ㆍ풍물굿ㆍ소통으로 관객을 사로잡…
섬네일
서울돈화문국악당, 30일 단오 맞이 전통…
섬네일
아일랜드 민요 그리고 우리 민요의 참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