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230. 띠배를 만들어 바다에 띄우는 “위도띠뱃놀이”

튼씩이 2016. 2. 24. 18:54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2. 24.



“위도 띠뱃놀이”는 설날부터 정월대보름까지 벌어지는 마을굿의 하나로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大里)마을에 전승되는 놀이입니다.(중요무형문화재 제82-3호) 정월 초사흗날 어민들이 풍어와 마을의 평안 등을 기원하는 마을 공동제사지요. 원당에서는 열두 서낭을 모시고 있는데 선주들은 이 열두 서낭 가운데 한 분을 내림받아 뱃기에 모시고 내려가 한 해 동안 자기 배의 뱃신으로 섬깁니다.

당굿의 진행순서는 먼저 성주굿으로 시작하여 산신굿, 손님굿, 지신굿, 서낭굿 1(원당·본당서낭), 서낭굿 2(애기씨서낭), 서낭굿 3(장군서낭), 깃굿, 문지기굿 따위를 하게 됩니다. 이어서 뱃기를 든 선주들이 행렬을 이루어 마을 뒤쪽을 한 바퀴 돌아오는 주산돌기를 하며 그동안 마을 앞 바닷가에서는 띠풀과 짚, 싸리나무 따위를 함께 엮어 길이 3m, 너비 2m 정도의 띠배를 만들어놓지요. 띠배 안에는 떡ㆍ밥ㆍ고기ㆍ나물ㆍ과일 따위를 넣어놓고 허수아비도 만들어 세웁니다. 그리고 작은 판자 쪽에 “소속 : 대리 띠배. 유자망ㆍ낭자망. 대풍어 용왕님 귀하”라고 써 붙여놓습니다. 띠배에 모든 준비를 마치면 바닷가에 용왕상을 차리고 용왕굿을 시작합니다.

용왕굿을 마치고 바다에 고수레까지 끝나면 띠배는 바다에 띄워지고 모선(母船)에 끌려 바다 가운데로 나가게 되지요. 띠배 옆에서는 호위선 서너 척이 오색 뱃기를 휘날리며 바다 위를 질주하고, 모선에서는 풍물굿은 물론 가래질소리ㆍ술비노래를 부르며 띠뱃놀이의 절정을 이룹니다. 드디어 띠배를 바다 가운데에 떼어놓으면 마을사람들은 띠배가 마을의 모든 액을 싣고 멀리 떠나기를 비손하지요.

-------------------------------------------------------
< 일본이야기 338 >

338. 3월 3일은 딸 가진 집안의 잔치 ‘히나마츠리’ 날



딸 가진 엄마들의 소원은 무엇일까? 전통사회에서는 곱게 키워 출가 시키는 것이겠지만 현대 사회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활발한 만큼 딸에게 거는 기대와 소원도 다를 것이다. 그러나 시대가 바뀌어도 변치 않는 것은 ‘딸아이의 건강과 올바른 성장'임은 틀림없다.

일본에서는 딸아이가 태어나면 할머니들이 ‘건강하고 예쁘게 크라’는 뜻에서 히나 인형을 선물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부터 전통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이 풍습을 “히나마츠리(ひな祭り)” 라고 한다. 히나마츠리는 혹시 모를 미래에 딸에게 닥칠 나쁜 액운을 덜기 위해 시작한 인형 장식 풍습인데 이때 쓰는 인형이 “히나인형(ひな人形)”이다. 히나마츠리를 다른 말로 “모모노셋쿠(桃の節句)” 곧 “복숭아꽃 잔치”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복숭아꽃이 필 무렵의 행사를 뜻하는 것으로 예전에는 히나마츠리를 음력 3월 3일에 치렀다.

히나인형은 원래 3월 3일 이전에 집안에 장식해 두었다가 3월 3일을 넘기지 않고 치우는 게 보통이다. 3월 3일이 지나서 인형을 치우면 딸이 시집을 늦게 간다는 말도 있어서 그런지 인형 장식은 이 날을 넘기지 않고 상자에 잘 포장했다가 이듬해 꺼내서 장식하는 집도 꽤 있다. 그러나 히나나가시(雛流し)라고 해서 인형을 냇물에 띄워 흘려보냄으로서 아이에게 닥칠 나쁜 액운을 해서 미리 막는 풍습도 있다.

히나마츠리가 다가오면 호텔 로비나 백화점 로비 같은 곳에도 크리스마스 장식처럼 히나인형을 장식한 것을 볼 수 있다. 인형가게에서는 2월이 특히 히나인형의 대목이다. 히나인형은 가지고 노는 인형이 아니라 집안에 장식해 놓는 인형이라 도쿄처럼 집이 좁은 곳에서는 보통 2단짜리 히나인형을 장식한다. 하지만 집이 크면 3단 또는 5단짜리 인형을 장식하는 집도 있다. 장소를 많이 차지하기에 좁은 집에서는 엄두도 못 낼 일이다.

히나인형 장식의 구조를 보면 제일 위 칸은 화려한 궁중의상의 일왕 부부가 앉아 있다. 그 아래 단은 궁녀 인형을 올리고 그 아래 단은 악사들이 자리하는데 단이 많을수록 비싸고 화려하다. 이것도 부익부 빈익빈인지라 막부정권 때에는 소비조장이라 해서 한때 규제된 적도 있을 정도다.

일본의 꽤 오랜 풍습으로 여자 아이를 둔 집안은 히나인형을 선물하고 아이가 무럭무럭 병 없이 잘 크기 바라는 “히나마츠리”는 외국인에게는 무척이나 신기한 행사다. 이번 주 일본에 가는 사람들은 어디서나 히나인형을 만나게 될 것이다.

* 일본한자는 구자체로 썼습니다.

.

.

이윤옥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59yoon@hanmail.net)

소장 김영조 ☎ (02) 733-5027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5가길3-1. 영진빌딩 703호
koya.egreennews.com, pine996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