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231. 엽전 35냥에 혼인 관계를 파하다

튼씩이 2016. 2. 29. 15:43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2. 25.



“애통하구나. 가슴이 미어진다. 부부유별(夫婦有別)은 사람이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 가운데 셋째로 큰 윤리인데, 무상하게도 나의 아내는 그동안 나와 함께 어려운 사람 속에서도 동고동락해왔으나 뜻하지 않게 오늘 아침에 나를 배반하고 다른 사람에게 시집을 갔다. (가운데 줄임) 그러므로 그 사정을 생각해 용서하고 엽전 35냥을 받고서 우리의 혼인관계를 파하고 위 댁(宅)으로 보낸다. 만일 뒷날 말썽이 일어나거든 이 수기를 가지고 증빙 할 일이다.”

위 내용은 조선후기에 한 평민의 것으로 보이는 이혼 사실 기록 문서입니다. 평민의 것으로 보인다는 것은 수기의 끝에 한글로 이름을 쓰고 수결이 아닌 손을 그려 넣었기 때문이지요. 일제강점기 때부터는 모두가 도장을 찍었지만 그 이전엔 양반은 사인(sign)의 하나인 수결(手決)을, 평민이나 노비는 손이나 손마디를 그린 점으로 알 수 있습니다. 손을 그리는 것은 수장(手掌), 손마디를 그리는 것은 수촌(手寸)이라 했지요.

이 수기를 보면 정확한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아마도 35냥을 받고 아내가 위 댁 곧 중이나 양반댁으로 보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얼마나 가난했으면 아내를 팔았는지, 아니면 아내를 빼앗기고 이혼 위자료 35냥으로 입막음을 당했을 지도 모릅니다. 어쨌든 이 수기로 우리는 조선 후기 서러운 평민의 처지를 짐작할 수 있으며, 양반 출신의 여성과는 달리 평민이나 노비들은 이혼이나 재혼을 쉽게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옛 얼레빗 (2012-02-23)


2258. 신부 혼수품 1호가 요강이었던 시절 - 그때를 아십니까 ⑦

.


“사돈집과 뒷간은 멀수록 좋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예전에 볼일을 보던 뒷간(화장실)은 집 하고 좀 떨어진 곳에 두었습니다. 집안으로 들어오는 냄새를 피하기 위해서였지요. 그래서 한겨울 밤중에 똥오줌(대소변)을 누러 갈 때는 곤혹스러웠습니다. 어린 마음에는 뒷간에서 달걀귀신이 나올 것 같기도 하고, 숭숭 뚫린 구멍으로 황소바람이 들어와 뒷간에 앉아있는 동안에는 몸이 오그라들기도 했던 기억이 새롭습니다.

60~70년대만 해도 도시의 부잣집을 빼고는 모두 뒷간이 집 밖에 있었고 그것도 공동으로 쓰는 화장실이 많았습니다. 대신 어린아이나 노인 또는 식구들이 한밤중에 뒷간을 가지 않아도 되게끔 오줌(소변)을 받아 내기 위한 이동용 변기 "요강"을 마련하여 집안에 두고 거기서 볼일을 보았지요. 그래서 예전에 요강은 신부 혼수품 1호였습니다. 특히 딸이 시집가는 날 가마 안의 요강에 목화 솜을 넣어 소변을 볼 때 부끄럽지 않도록 친정어머니는 신경을 썼지요.

요강은 다른 말로 야호(夜壺), 음기(飮氣), 설기(褻器), 수병, 요분(溺盆)이라고도 불렀으며 그 밖에 지방에 따라서는 오강이라고도 했습니다. 이러한 요강의 재료는 도자기ㆍ유기ㆍ목칠기와 놋쇠 따위로 다양한 편입니다. 한국결혼문화산업진흥원에 따르면 1960~70년대 평균 혼수비용은 24만 7,000원이었다고 하는데, 이제 2000년대는 1,355만 원으로 54배나 늘었지요. 1940~50년대 신부 혼수는 바느질 용구, 각종 보자기, 자신이 입을 옷과 함께 수저ㆍ주전자 같은 주방용품류, 요강, 대야 따위가 대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혼수품은 다이아반지와 함께 PDP TV, 냉장고, 드럼세탁기, 노트북, 홈시어터 그리고 아파트 열쇠까지 등장했지요. 혼수품으로 신부를 평가하는 시대에 옛 여인들의 혼수품 1호 요강은 마치 동화 속의 이야기만 같습니다. 불과 30~40여 년 전 이야기인데 말입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 소장 김영조
koya.egreennews.com
사울시 종로구 새문안5가길 3-1. 영진빌딩 703호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