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914호) 한가위 앞뒤 달밤에 즐겼던 ‘강강술래’

튼씩이 2018. 9. 27. 09:59

한국문화편지

3914호 (2018년 09월 27일 발행)

한가위 앞뒤 달밤에 즐겼던 ‘강강술래’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14][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가무형문화재 가운데는 제8호 강강술래가 있는데 전라남도 해남ㆍ완도ㆍ무안ㆍ진도 같은 곳의 바닷가 지방에서 전승되어 왔습니다. 강강술래는 노래와 춤이 하나로 어우러진 여성들의 집단놀이로 한가위 앞뒤나 정월대보름 달밤에 즐겼습니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왜군에게 우리의 병사가 많다는 것을 보이기 위한 의병술로 마을 여성들을 모아 남자 차림을 하게 하고 옥매산을 돌도록 한데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있지요 하지만, 원시시대부터 한해 가운데 가장 달이 밝은 밤에 잔치를 벌여 노래하고 춤추던 풍습에서 비롯된 민속놀이라고 보는 것이 학계의 정설입…
딸과 어머니의 애틋한 만남 “반보기”
보름달처럼 풍성한 한가위 맞으소서!!!
3911. 우리말 ‘한가위’ 놔두고 웬 "추석?"
펑펑 울 수 없었던 남정네여 아쟁산조를 들어라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한라에서 백두까지 그리고 그 너머백두산 정상에 서서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고명주 시인]
[화보] 황금인간 황금도시를 찾아서...황금문명 엘…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서양 사람들이 중세시대를 지나면서,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들이 처음 식민지 개척을 한 곳은 인도…
독립유공자 6명을 낸 배화여고, 독립운동의 산실함께 만세운동을 한 18명은 왜 독립유공자가 되지 못하나?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이번 제73돌 광복절을 맞아 98년 전 배화여학교(현, 배화여자고등학교)에 다니던 이 학교 6명의 소녀들이 독립유공자…
씨앗과 열매 / 김정애
오늘은 흰 이슬이 내리는 24절기 백로(白露)
호미씻이 하고, 들돌 들고 오늘은 백중날
[화보] 천년 신목(神木) 은행나무 있는 양평 용문…
'춤' 자의 무한한 이미지 '몸짓, 붓으로 풀다' 전 열려
전통 다과, 빙자ㆍ연근정과ㆍ신검초단자 만드는 법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벽파 제자 박태여의 서도 적벽가[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86]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중국 북송의 시인, 소동파가 장강(…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한가위 인사 올립니다.^^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일본 전업주부, ‘죄악감’을 느낀…[맛있는 일본 이야기 458] 책 《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지난해 11월 《전업주부는 2억엔을 손해보고 있다…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국립부여박물관 특별전 “치미, 하늘의…
섬네일
필문 이선제 선생 묘지(墓誌) 20년만의…
섬네일
인간 본질을 묻는 도스토옙스키 걸작, 연…
섬네일
[화보] 황금인간 황금도시를 찾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