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920호) 타원형 화창이 있는 고려시대 6각형 석등

튼씩이 2018. 10. 5. 09:03

한국문화편지

3920호 (2018년 10월 05일 발행)

타원형 화창이 있는 고려시대 6각형 석등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20][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강원 화천군 하남면 계성리 마을에는 보물 제496호 “화천 계성리 석등“이라는 이름의 고려시대 석등이 있습니다. 이 마을에는 절 계성사(啓星寺)의 옛터가 있으며, 절터에는 쓰러진 석탑의 일부와 종모양의 승탑들이 흩어져 있지요. 이 석등은 일제 때 절터에서 약 200m밑으로 강제로 옮겨진 것으로 정확한 원래의 위치는 알 수 없다고 합니다. 석등은 보통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이 중심이 되고, 아래로는 이를 받쳐주는 3단의 받침돌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습니다. 그런데 이 석등의 아래받침돌은 거의 묻혀 있어 윗부분만 보이며, 가운데받침돌…
《사기》 백이전을 11만 번 읽었다는 김득신
개천절과 단군, 그리고 민족종교 대종교
왜군 포로가 된 백성에게 내린 한글교서
오늘은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 개봉한 날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화보] 구산선문 동리산문 종찰 곡성 태안사를 찾…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최우성기자] 태안사는 전남 곡성에 있는 고찰이다. 태안사는 신라 경덕왕 원년(742) 세분의 스님에 의하여 개창되었으나, 이후 문성왕…
김홍도 말년의 역작 「삼공불환도」 보물 지정「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등 4건과 함께
섬네일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와 「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등 조선 시대 회화와 불교…
중국 긴 창, 일본은 칼, 우리 겨레는 활[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15]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중국인들이 우리 겨레를 ‘동이(東夷)’라 불렀는데 여기서 이(夷)는 큰 활(大弓)이라는 뜻이라고 하지요. 그만큼 우리 겨…
독립유공자 6명을 낸 배화여고, 독립운동의 산실
씨앗과 열매 / 김정애
오늘은 흰 이슬이 내리는 24절기 백로(白露)
호미씻이 하고, 들돌 들고 오늘은 백중날
[화보] 천년 신목(神木) 은행나무 있는 양평 용문…
'춤' 자의 무한한 이미지 '몸짓, 붓으로 풀다' 전 열려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수심가, 대동강 물 먹은 사람 아니…[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87.…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도창으로 부르는 적벽부(赤壁賦…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사)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쉬운 배…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57-갑절,온,돋다…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일본의 노벨의학생리학상 5번째…[맛있는 일본이야기 459]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스웨덴 캐롤린스 연구소는 1일, 2018년 노벨의학생…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그림으로 일본미술을 읽어볼까? ‘사자…
섬네일
가을에 맛보는 대한민국미술잔치, 킨텍…
섬네일
하정열 개인전 ‘그림이 된 시, 시가 된…
섬네일
수원시, '제7회 전국 규방공예 공모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