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924호) 임란 때 백성의 처참함 담긴 《오희문 쇄미록》

튼씩이 2018. 10. 11. 09:46

한국문화편지

3924호 (2018년 10월 11일 발행)

임란 때 백성의 처참함 담긴 《오희문 쇄미록》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24][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진주박물관에 가면 보물 제1096호 《오희문 쇄미록(吳希文 ?尾錄)》이란 책이 소장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조선 중기 학자 오희문(1539∼1613)이 임진ㆍ정유 양란을 겪으면서 쓴 일기로, 선조 24년(1591)부터 선조 34년(1601)까지 약 9년 남짓 동안의 사실을 기록한 것입니다. 이 일기는 모두 7책으로 되어있고, 각 책의 끝에는 임금과 세자의 교서, 의병들이 쓴 여러 글, 유명한 장수들이 쓴 성명문, 각종 공문서, 과거시험을 알리는 글, 기타 잡문이 수록되어 있어서 당시의 사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책에는 경상도의 곽재우(郭再祐)ㆍ김면…
훈민정음 반포를 기린 가갸날 그리고 한글날
“어울림”보다 IPARK, 藝家가 더 좋은가요?
오늘은 24절기 열일곱째 찬이슬 맺히는 한로
타원형 화창이 있는 고려시대 6각형 석등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공훈록에 없는 2017년 서훈받은 독립유공자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 기록물’에 쓴소리(1)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최근 가짜 독립운동가들이 진짜 행세를 하면서 국립현충원에 버젓이 묻히는가 하면 유족연금을 수십 년에 걸쳐 타먹는 어…
[화보] 또 하나의 국방유적 강화 교동도 교동읍성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최우성기자] 강화에는 단군이 하늘에 제사를 지낸 곳으로 마니산 꼭대기에는참성단이 있어 한민족의 시원이 있으며, 그 아래에는 단군…
중국 긴 창, 일본은 칼, 우리 겨레는 활[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15]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중국인들이 우리 겨레를 ‘동이(東夷)’라 불렀는데 여기서 이(夷)는 큰 활(大弓)이라는 뜻이라고 하지요. 그만큼 우리 겨…
독립유공자 6명을 낸 배화여고, 독립운동의 산실
씨앗과 열매 / 김정애
오늘은 흰 이슬이 내리는 24절기 백로(白露)
호미씻이 하고, 들돌 들고 오늘은 백중날
[화보] 천년 신목(神木) 은행나무 있는 양평 용문…
'춤' 자의 무한한 이미지 '몸짓, 붓으로 풀다' 전 열려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서도소리, 전승자 극소수로 위기[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88]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도소리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오늘 토박이말]왜자기다(사)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참우리…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왜자기다/(사)토박이말바라…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도쿄 신주쿠 거리, 영어 간판이 별…[맛있는 일본 이야기 460]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제는 한국 글자인 한글 반포 572년째 되는 날이다…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명인의 삶, 그 길을 따라 걷다
섬네일
국립국악원, 창작을 위한 국악기 렉처콘…
섬네일
가을에는 박물관으로, ‘음악이 있어 특…
섬네일
예술적 관점에서 본 한국 문화의 코드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