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928호) 빛깔이 아름다운 “상감당초무늬 청자대접”

튼씩이 2018. 10. 17. 01:08

한국문화편지

3928호 (2018년 10월 17일 발행)

빛깔이 아름다운 “상감당초무늬 청자대접”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28][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고려청자의 전성기 때 만들어진 청자대접으로 높이 6.05㎝, 입지름 16.8㎝, 밑지름 4.4㎝ 크기의 국보 제115호 “상감당초무늬 청자대접”이 있습니다. 고려 의종 13년(1159)에 죽은 문공유의 묘지(墓誌;죽은 사람에 대한 기록을 적은 글)와 함께 경기도 개풍군에서 출토된 것인데, 빚은 때를 알 수 있는 상감청자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이 대접은 굽 부분이 좁고 아가리가 위로 벌어졌는데, 굽에서 아가리까지는 완만한 선을 이루고 있지요. 대접 안쪽 가운데에는 원을 그리고, 그 안에 큰 꽃무늬를 새겼는데, 바탕을 백토(白土)로 상감하는…
왜구를 막기 위해 돌로 쌓은 제주 별방진
해가림(일식)때 물동이에 물 담아 해를 보다
121년 전 오늘, 고종 대한제국 황제에 오르다
임란 때 백성의 처참함 담긴 《오희문 쇄미록》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옛 사대부들은 판소리 중 적벽가 좋아해[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89]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도소리의 요성법이 경기지방이나 남도의 그것과는 다르다는 이야기와 함께 지방마다 말이 다르고, 억…
[시가 있는 풍경 85] 은허(殷墟)*에서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명호 시인] * 은허(殷墟)는 : 중국 상나라 서울로 갑골문이 발견됨, 그 발견지점에 중국문자박물관(中?文字博物?)을 세웠다 겁골…
중국 긴 창, 일본은 칼, 우리 겨레는 활[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15]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중국인들이 우리 겨레를 ‘동이(東夷)’라 불렀는데 여기서 이(夷)는 큰 활(大弓)이라는 뜻이라고 하지요. 그만큼 우리 겨…
독립유공자 6명을 낸 배화여고, 독립운동의 산실
씨앗과 열매 / 김정애
오늘은 흰 이슬이 내리는 24절기 백로(白露)
호미씻이 하고, 들돌 들고 오늘은 백중날
[화보] 천년 신목(神木) 은행나무 있는 양평 용문…
'춤' 자의 무한한 이미지 '몸짓, 붓으로 풀다' 전 열려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옛 사대부들은 판소리 중 적벽가 좋…[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89]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도소리의 요성법이 경기지방이…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오늘 토박이말]외돌토리(사)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참우리…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외돌토리/(사)토박이말바라…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교토 천도를 기리는 10월 22일의…[맛있는 일본이야기 461]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교토는 지금 10월 22일(월)에 열리는 지다이마츠리…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한국과 일본을 잇는 조각보, 어우러짐의…
섬네일
영국 로렌스 올리비에상 수상작 ‘협력…
섬네일
가을과 함께 ‘밀로쉬 카라다글리치’…
섬네일
옛 사람들의 슬기로움과 미감을 전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