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940호) 선비의 상징 백로 무리가 사는 양양 포매리

튼씩이 2018. 11. 2. 11:07

한국문화편지

3940호 (2018년 11월 02일 발행)

선비의 상징 백로 무리가 사는 양양 포매리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40][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백로는 예로부터 청렴한 선비의 상징으로 시나 그림에 많이 나오는 상서로운 새로 알려졌는데 열대에서 온대에 이르는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백두산 지역을 뺀 곳곳에서 삽니다. 강이나 호수, 갯벌 등에서 볼 수 있으며 이른 봄부터 늦가을까지 우리나라에서 사는데, 주로 소나무ㆍ은행나무에서 무리를 지어 살지요. 백로는 노랑부리백로, 대백로, 쇠백로, 중대백로, 중백로 같은 것들이 있는데 백로의 토박이말 이름은 ‘해오라기’입니다. 우리나라의 백로 서식지로는 거창군 거창읍 서변리 사동마을(사기막골)을 비롯하여 인천 계양구 귤현근린공원, 수…
93년 전 오늘 박은식 임시정부 대통령 순국한 날
뒤바뀐 금귀걸이 보물 제455호와 제2001호
와규(和牛)를 뛰어넘는 육질 제주 흑우(黑牛)
오늘 <한글맞춤법통일안>이 세상에 나온 날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나는 모르니 백성에게 물어 아뢰라[생각의 정치를 편 ‘세종의 길’ 함께 걷기] 2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광옥 명예교수] 세종이 ‘생각하는 임금’이라는 근거는 무엇인가? 세종은 ‘나는 모른다.’로 시작하여 학습에 충실하며, 사람이 새…
광주학생운동에 뛰어든 소녀회 회원 장경례 지사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머니(장경례 지사)는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현, 전남여자고등학교) 제1회 입학생으로 1928년 11월, 동교생이…
[화보] 대홍수에 사라졌던 북한산성 행궁지 복원중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북한산성 행궁은 조선 숙종 때 전란을 대비하여 지은 임금의 임시거처로, 임금이 거처하는 곳이라 하여 행궁으로 불린다.…
오늘은 가을바람 가득한 24절기 상강
중국 긴 창, 일본은 칼, 우리 겨레는 활
독립유공자 6명을 낸 배화여고, 독립운동의 산실
씨앗과 열매 / 김정애
오늘은 흰 이슬이 내리는 24절기 백로(白露)
호미씻이 하고, 들돌 들고 오늘은 백중날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일제강점기 재담소리, 대중들에게…[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91]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화용도(華容道) 좁은 길목에서 조…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오늘 토박이말]우긋하다(사)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참우리…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우긋하다/(사)토박이말바라…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5.7.5 조의 17문자로 세태를 풍자…[맛있는 일본 이야기 462]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 마누라가 없는 이 날은 아침부터 프리미엄 『妻い…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영화를 만난 국악판타지 ‘꼭두’, 11월…
섬네일
가을의 끝자락에 펼쳐지는 청년콘서트…
섬네일
융합작가 차홍규 장안중학교 갤러리서…
섬네일
새광복과 평화를 위한 제주사진전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