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950호) 전통혼례 때 신랑이 목기러기에 절하는 까닭은?

튼씩이 2018. 11. 16. 17:11

한국문화편지

3950호 (2018년 11월 16일 발행)

전통혼례 때 신랑이 목기러기에 절하는 까닭은…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50][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우리의 전통혼례에는 신랑 일행이 혼례를 올리러 신부집으로 향할 때, 안부(雁夫) 곧 기럭아비가 목기러기를 들고 따라갑니다. 신랑이 신부집 안마당에 준비한 초례청(醮禮廳)에 사모관대로 정장을 하고 들어서면 신부집에서는 전안청(奠雁廳)이라 하여 낮은 상 위에 붉은 보자기를 깔고 뒤에 병풍을 쳐둡니다. 신랑이 이 상 앞에 무릎을 꿇고 앉으면 기럭아비가 기러기를 신랑에게 전하지요. 그러면 신랑은 목기러기를 받아 상 위에 놓고 절을 두 번 하는데 이런 절차를 “전안지례(奠雁之禮)”라고 합니다. 이것은 남편이 아내를 맞아 기러기처럼 백년해로를 하고 살기를 맹…
고종 32년 오늘 내린 단발령, 상투 잘리자 통곡
일본서 되돌려 받은 “한송사터 석조보살좌상”
진밥ㆍ된밥을 함께 짓는 슬기로운 ‘언덕밥’
중종 때 선비 양산보의 정원숲 “소쇄원”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간하는 말이 사리에 안 맞아도 죄는 주지 않겠다[생각의 정치를 편 ‘세종의 길’ 함께 걷기] 4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광옥 명예교수] 세종은 신하를 비롯한 여러 사람의 이야기를 잘 들었다. 신하들의 간(諫)하는 말도 잘 들었다. 간이란 자기의 의견을…
조선의 최첨단 비밀병기 비격진천뢰 11점 출토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에서 조선 시대 군사 시설 발굴
섬네일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호남문화재연구원(원장 윤덕향)이 발굴조사 중인 사적 제346호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에서 조선 시대 훈련청과 군기고…
치계미ㆍ도랑탕잔치로 어르신을 받드는 입동[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43]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늘은 24절기 열아홉째 ‘입동(立冬)’입니다. 입동은 이날부터 '겨울(冬)에 들어선다(立)'라는 뜻이지요. 이때쯤이면…
[화보] 대홍수에 사라졌던 북한산성 행궁지 복원중
오늘은 가을바람 가득한 24절기 상강
중국 긴 창, 일본은 칼, 우리 겨레는 활
독립유공자 6명을 낸 배화여고, 독립운동의 산실
씨앗과 열매 / 김정애
오늘은 흰 이슬이 내리는 24절기 백로(白露)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산타령”을 함께 부르는 청중들[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93]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재담소리 “장대장타령”공연과…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사)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쉬운 배…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61-처음 임금님…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수확기를 앞둔 아오모리 과수원에…[맛있는 일본이야기 464]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아오모리라고하면 일본 내에서도 손꼽히는 사과 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백악지장’ 거문고, 음악의 대중화를…
섬네일
한중일의 용의 이미지를 찾아서 “용꿈…
섬네일
‘사랑의달팽이 클라리넷 앙상블 정기연…
섬네일
국회 사랑재, 일반 국민에게 '첫 개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