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4080호) 모금운동을 통해 일본서 찾아온 문화재

튼씩이 2019. 5. 17. 08:25

한국문화편지

4080호 (2019년 05월 17일 발행)

모금운동을 통해 일본서 찾아온 문화재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80][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2006년 7월 25일 국립중앙박물관 앞뜰에서는 <김시민 선무공신교서>가 일본에서 귀국했음을 알리는 고유제를 올렸습니다. <김시민 선무공신교서>는 임진왜란 3대 대첩의 하나인 진주성 싸움에서 공을 세운 김시민(金時敏, 1554∼1592) 장군을 선무2등공신에 책봉하고 내린 교서입니다. 교서의 크기는 세로 38.4㎝, 가로 287㎝로, 교서의 제목은 <가선대부 경상우도병마절도사 겸 진주목사 효충장의협력선무공신 자헌대부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상락군 김시민에게 내리는 교서>입니다. 2006년 6월 MBC-TV의 <느낌표-위대한 유산…
재미난 가사의 서도민요 ‘난봉가’들
오늘은 준수방에서 세종대왕 태어나신 날
경매에 나온 고려시대 불경 《원각경》
고양 장항습지, 세계적 철새 서식지로 인정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중국 1950년 티베트 점령, 달라이 라마 1959년 탈출한국의 돈키호테와 다람살라 방문기 (9)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이상훈 교수] 수색대는 라모 돈둡과 함께 라싸로 길을 떠나려 했는데 문제가 발생했다. 이 지역의 회교도 중국인 군 지도자 마부팡이 엄…
딸의 49제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딸의 49제 부정하지 않았다 꿈이라 여기지도…
장승은 일제가 왜곡한 것, 벅수라 불러야[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31]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누가 감히 ‘벅수’(法首)를 ‘장승’(長?)이라고 부르는가? 우리가 살고 있는 마을을 지켜주고 있는 수호신 역할의…
탑골공원 독립만세, 순식간에 온 장안에
조선의 ‘주의’를 위해 통곡했던 신채호 선생
4000.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천회 맞으며
이완용을 개 취급한 노백린 장군 순국한 날
조선시대 중국 가는 사신들 장 싸들고 갔다
치계미ㆍ도랑탕잔치로 어르신을 받드는 입동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경기소리의 위기가 시작되는가?[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419]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금의 12가사처럼 서울 경기지방의 긴소리 1…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토박이말 맛보기1]-8 가심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부처님 오신 날 잘 쉬셨는지요? 부처님께 절을 올…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한국에서 더 유명한 일본인 피아니…[맛있는 일본이야기 488]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피아니스트 유키 구라모토를 알게 된 것은 한 이십…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일본 에도시대 귀족 여성들의 세면도구…
섬네일
뉴욕 링컨센터 무대 오르는 ‘꼭두’, 나…
섬네일
「대한민국 100년, 역사를 바꾼 10장면…
섬네일
특별공개 유물로 느껴보는 선비들의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