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4094호) 오늘 24절기 망종, 보릿고개 이야기

튼씩이 2019. 6. 6. 12:51

한국문화편지

4093호 (2019년 06월 06일 발행)

오늘 24절기 망종, 보릿고개 이야기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09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아홉째 망종입니다. 망종(芒種)이란 벼, 보리 같이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씨앗을 뿌려야 할 적당한 때라는 뜻이지요.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요.”라는 속담이 있는데 망종 무렵은 보리를 베고 논에 모를 심느라 눈코 뜰 새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때는 “발등에 오줌 싼다.”라고 할 만큼 한해 가운데 가장 바쁜 때입니다.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풋보리 이삭을 뜯어서 손으로 비벼 보리알을 모은 뒤 솥에 볶아서 맷돌에 갈아 체로 쳐 그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고 믿…
해넘이 명소 “꽃지 할미ㆍ할아비 바위”
기업도 사회적 가치 실천해야, 최태원 회장
우리말이름은 있지만 한글이름은 없다
오늘은 홍의장군 곽재우 의병장 숨진 날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국악’ 대신 우리음악에 걸맞은 이름을 찾자우리음악 정명(正名)찾기 추진위원회, 창립기념 토론회 열려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세상에 이름처럼 중요한 것이 없다. 우리 천년의 역사 속에서 우리의 몸에 맞는 음악을 우리의 옷처럼 입고 키워왔으나…
창원 현동에서 오리모양 토기 등 1만여 점 유물 출토삼한문화재연구원, 670여기 무덤 등 아라가야가장 큰 고분군…
섬네일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청장 정태화)의 의뢰를 받아 (재)삼한문화재연구원(원장 김구군)…
'지랄병'을 말하는 일본말 '뗑깡'을 꼭 써야 했나?공당의 원내대표, 말 하나하나 가려서 써야한다
섬네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사람일수록 순화된 언어 태도가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텔레비전을 통해 전달되는 거친 말들은 국민…
빗장을 지른 듯 닫혀 있는 아버지 입
매사에 묻는 것이 아니라 심는 연습을 한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왜 '돌하르방'을 돌려주지 않나?
인천대, 밝혀지지 않은 215명 독립유공자 발굴 공개
달라이 라마, 죽으면 환생하지 않겠다고 선언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서 여럿 상형토기 발견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말 머리에 뿔 나거든 오실라요?[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422]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울, 경기지방의 민요 <이별가…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사)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쉬운 배…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85-사다리꼴, 점…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은둔형외톨이 문제로 고민하는 일…[맛있는 일본 이야기 491]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얼마 전 가와사키 시에서 일어난 은둔형외톨이로…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해설이 있는 국립국악관현악단 ‘정오의…
섬네일
지금 우리 시대의 샤일록은 어떤 인물인…
섬네일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6월, ‘최호성의 심…
섬네일
해설과 함께하는 무형유산공연 <전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