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할 나이가 넘은 처녀 총각이 땋아 늘인 긴 머리를 떠꺼머리라고 하는데, 떠꺼머리처녀는 빨강 댕기, 떠꺼머리총각은 검정 댕기를 매었다. 처녀 총각들이 애용하던 댕기는 제비부리댕기로, 양쪽 끝이 제비부리처럼 삼각형으로 뾰족하게 된 댕기다. 도투락 또는 도투락댕기는 여자아이가 드리는 자줏빛 댕기, 말뚝댕기는 도투락댕기를 달기에는 나이가 많고, 제비부리댕기를 달기에는 아직 이른 소녀들이 드리던 댕기다. 길고 넓적하며 윗부분이 삼각형으로 말뚝처럼 생겼다고 해서 말뚝댕기라는 이름이 붙었다. 땋은 머리가 풀리지 않도록 끝에 묶는 작은 댕기는 종댕기라고 한다.
비녀는 쪽을 찐 머리가 풀리지 않도록 꽂는 장신구인데, 삼국시대부터 쓰였지만 다양한 형태로 발전한 것은 조선 영-정조 시대라고 한다. 그 사연이 재미있다. 그 시대에 이르러 얹은머리가 유행하면서 머리의 형태가 갈수록 커지고 사치가 심해졌다고 한다. 얹은머리에 쓰이는 가발을 ‘가체(加髢)’라고 하는데, 가체로 인해 사회 전체에 사치풍조가 만연하자 정조12년(1788), 조정에서는 가체 금지령을 내렸다. 얹은머리를 금지하고 쪽머리를 국정(國定) 헤어스타일로 선포했던 것이다. 이것이 쪽머리의 필수품인 비녀가 제 세상을 만나는 계기였다. 머리에 아무런 장식도 새기지 않은 비녀를 민비녀, 머리에 장식이 있는 것을 꾸민잠이라고 하는데, 아래와 같은 꾸민잠의 목록을 보면 비녀가 만난 제 세상이 얼마나 화려하고 다채로운 것이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봉잠(鳳簪), 용잠(龍簪), 호도잠(胡桃簪), 석류잠(石榴簪), 오두잠(烏頭簪), 화월잠(花月簪), 매죽잠(梅竹簪), 산호잠(珊瑚簪), 국화잠(菊花簪), 각잠(刻簪), 원앙잠(鴛鴦簪), 불두잠(佛頭簪), 어두잠(魚頭簪), 죽잠(竹簪), 화엽잠(花葉簪), 가란잠(加蘭簪), 목련잠(木蓮簪), 모란잠(牧丹簪), 초롱잠(草籠簪), 두잠(豆簪), 말뚝잠. 잠이 안 올 때 이런 비녀들의 이름을 외우고 있으면 잠이 쏟아질 것 같다.
얹은머리 (명) 땋아서 위로 둥글게 둘러 얹은 머리.
쓰임의 예 – 주모는 분도 바르고 뫼 산 자로 눈썹도 다듬고 얹은머리 끝에는 다홍 댕기도 물려…. (한무숙의 소설 『만남』에서)
이 말만은 꼭 갈무리하자
떠꺼머리 – 혼인할 나이가 넘은 처녀 총각이 땋아 늘인 긴 머리.
'지난 게시판 > 우리말은 재미있다(장승욱)'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7 – 어여머리 (0) | 2019.06.25 |
---|---|
076 – 족두리 (0) | 2019.06.24 |
074 – 낭자 (0) | 2019.06.22 |
073 – 바늘겨레 (0) | 2019.06.21 |
072 – 시침질 (0) | 201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