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268. 신라 때부터 왕실에서 쓰던 ‘왕골 제품’

튼씩이 2016. 4. 18. 11:11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4. 18.



“조선 농촌의 수공예품으로 멀리 태평양을 건너 미국으로 수출되는 수량이 날로 늘어 지금 조선 부업의 왕좌를 차지하고 있는 완초(莞草, 왕골) 슬리퍼는 대대적으로 성가가 높아져 그 생산량도 날로 성황이라고 한다. 더구나 작년 수해가 극심한 지방은 완초 생산이 가능한 지방의 이재민을 구제하는 부업으로 장려하게 되어 달성, 고령, 칠곡 세 고을이 완초 슬리퍼 왕국이 되었다.”

이는 1935년 1월 13일치 동아일보에 나온 “산더미 같은 완초 슬리퍼”라는 제목의 기사입니다. 완초란 우리말로 왕골로 이 무렵만 해도 왕골제품은 돗자리, 방석, 바구니 따위 다양한 일상 생활용품을 만들어 썼으며 슬리퍼 곧 실내화 같은 물건을 만들어 수출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서서히 우리나라에도 왕골대신 플라스틱이 등장하여 왕골 제품은 설자리를 잃고 말았습니다.

왕골로 공예품을 만드는 장인을 일컬어 완초장이라고 하는데 현재는 중요무형문화재 제 103호로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사는 이상재 선생이 지정되어 그 전통의 맥을 이어 가고 있습니다. 왕골은 논 또는 습지에서 자라는 1~2년생 풀로 키는 60∼200㎝에 이르며 완초, 용수초, 현완, 석룡초라고도 부릅니다. 이러한 왕골은 신라 때부터 썼는데, 이후 왕실이나 상류계층에서 사용되었으며 외국과의 중요한 교역품이기도 하였지만 지금은 겨우 그 맥을 이어갈 뿐입니다.

--------------------------------------------------------
< 토박이말 시조 259>

봄달참배울이날(4.19날)



밝검메 꼭대기서 맑절을 올리고

안아온 꽃묶음 곱게곱게 바쳐서

배울이 목숨핏소리 눈감고 듣는다

.

* 배울이 : 4.19학생들,
* 밝검메 : 백두산,
* 맑절 : 속심 없는 절, 묵념

.

재일본 한국문인협회 회장 김리박

소장 김영조 ☎ (02) 733-5027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5가길 3-1. 영진빌딩 703호
koya.egreennews.com, pine996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