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4267호) 마당을 쓸면 황금이 나오는 입춘

튼씩이 2020. 2. 4. 08:08

겨울 속에서 봄을 보려면

신도 경건하게 무릎 꿇어야 하리라

내 사는 은현리서 제일 먼저 피는 꽃

대한과 입춘 사이 봄까치꽃 피어

가난한 시인은 무릎 꿇고 꽃을 영접한다

 

오늘은 24절기가 시작되고 봄을 맞이하는 입춘(立春)입니다. 입춘 무렵의 대표적인 세시풍속으로는 봄이 온 것을 기리어 축원하는 입춘축(立春祝)을 집 대문이나 대들보ㆍ천장 따위에 붙이는 것입니다. 입춘축을 다른 말로는 춘축(春祝), 입춘첩(立春帖), 입춘방(立春榜), 춘련(春聯), 문대(門對), 춘첩자(春帖子), 춘방(春榜), 대련(對聯), 춘첩(春帖)이라고도 하지요.



 

입춘축을 붙이는 모습(국립민속박물관 제공)


▲ 입춘축을 붙이는 모습(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입춘축 가운데 가장 많이 쓰는 것은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으로 “입춘이 되니 크게 길 할 것이요, 만 가지 일들이 형통하라.”라는 뜻이 담겨 있지요. 그밖에 쓰는 말로는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로 ”산처럼 오래 살고 바다처럼 부자가 되어라.“, ”소지황금출 개문만복래(掃地黃金出 開門萬福來) 곧 “마당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열면 만복이 들어온다.”라는 것도 있는데 온갖 좋은 말은 다 가져다 붙여놓습니다.

 

그런가 하면 조선시대 천문ㆍ지리ㆍ날씨를 맡아 보던 관청인 관상감(觀象監)에서는 붉은 물감[鏡面朱砂]으로 귀신을 쫓다는 뜻의 “神茶鬱壘(신다울루)”라는 글씨를 써서 궁중의 문설주에 붙여 두었습니다. 신다와 울루, 이 두 신은 귀신들이 다니는 문의 양쪽에 서서 모든 귀신을 살피는데 이때 남을 해치는 귀신이 있으면, 갈대 새끼로 묶어 호랑이에게 먹인다고 믿었습니다. 요즘에는 토박이말로 “들봄한볕 기쁨가득”이라고 써 붙이기도 합니다. 오늘 입춘, 새봄을 맞으며 우리의 마음에도 입춘축을 붙여 볼까요?


 

토박이말로 “들봄한볕 기쁨가득”이라고 쓴 입춘축


▲ 토박이말로 “들봄한볕 기쁨가득”이라고 쓴 입춘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