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305. 단오의 민속놀이, 오른씨름과 왼씨름ㆍ띠씨름

튼씩이 2016. 6. 8. 07:41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6. 8.



내일은 우리 겨레의 명절 “단오”입니다. 단오에 즐기는 대표적인 민속놀이에는 씨름이 있는데 4세기 무렵으로 추측되는 고구려 고분 각저총(角抵塚) 주실(主室) 석벽에 두 사람이 맞붙어서 씨름하는 모습의 그림이 보여 우리 겨레가 삼국시대 이전부터 즐겨온 것으로 보입니다. 그 뒤 고려시대에는 《고려사》에, 조선시대에는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며, 김홍도의 풍속도에 씨름 그림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널리 즐겼을 것입니다.

씨름은 원래 '왼씨름', '오른씨름', '띠씨름'이 있었습니다. ‘오른씨름(바른씨름)’은 오른손으로 상대방의 허리를 쥐고 왼손으로 상대방의 샅바를 잡고하며, 경기도와 전라도 지방에서 주로 했지요. 손잡는 것이 반대인 것을 왼씨름이라고 하는데 이는 함경, 평안, 황해, 경상, 강원도 등에서 했고, 띠씨름은 허리에다 띠를 매어 그것을 잡고 하는 씨름인데 '허리씨름'또는 '통씨름'으로도 불렀으며, 주로 충청도에서 했습니다. 이렇게 따로 치르던 씨름은 1931년 제2회 전 조선 씨름 대회부터 〈왼씨름〉 한 가지로 통일되어 현재 〈대한씨름협회〉가 주관하는 모든 씨름 경기와 각 학교에서 가르치는 씨름은 〈왼씨름〉입니다.

씨름 기술은 크게 공격 기술인 '메치기(둘러메어서 바닥에 내리치는 기술)'와 방어 기술인 ' 되치기(상대방이 기술을 걸어왔을 때 움직임을 그대로 되받아 메치는 기술)'로 나누어지는데 세부적인 기술로는 앞무릎치기, 뒷무릎치기, 오금채기, 옆무릎치기, 잡치기, 꼭뒤집기, 등샅바잡아채기 등이 있습니다. 씨름판이라 하여 주로 바닷가 백사장의 원형판에서 이루어졌으며, 우승자에게 황소를 상으로 주는 것이 관례였지요.

-------------------------------------------------------
< 일본이야기 353 >

지금 일본은 색색깔의 수국이 지천



한국보다 장마가 한 달 빠른 일본은 지금 장마철로 접어들었다. 장마철이 되면 유달리 눈에 띄는 꽃이 수국이다. 일본말로는 아지사이라고 하는데 일본인들은 이 꽃을 한국인 보다 즐기는 것 같다. 이맘때만 되면 형형색색의 수국을 잔뜩 심어 놓은 공원을 소개하는 뉴스가 심심치 않게 나온다.

사이타마현 삿테시(幸手市)도 그런 곳 가운데 하나이다. 벚꽃의 명소로도 알려진 삿테시의 곤겐도공원(權現堂公園)에는 100종류의 수국 16,000 그루를 심어 놓았는데 무려 500미터에 이르는 꽃길이 장관이라고 한다.

이 꽃은 삿테곤겐도벚꽃 보존회 회원들이 벚꽃 계절이 지난 뒤에 감상할 꽃을 물색하다가 수국을 심기 시작하여 올해로 20년째 수국공원을 가꾸고 있다. 이 공원에서는 6월 4일부터 ‘삿테 수국잔치’를 열고 있는데 7월 3일까지 아름다운 수국을 볼 수 있다. 마지막 날에는 수국을 꺾어 선물로 줄 계획이라고 한다.

수국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곳은 또 있다. 봄에는 철쭉, 여름에는 수국이 활짝 펴 일본 최고의 꽃절로 알려진 천년고도 교토 이웃도시 우지시(宇治市)의 삼실호사(三室戶寺, 미무로토지)가 그곳이다. 이곳도 지금 한창 수국이 그 자태를 뽐내고 있을 것이다.

몇 해 전 이맘때 기자가 찾아갔을 때도 보랏빛 수국이 황홀할 정도로 꽃동산을 이루고 있었다. 전국 최고의 꽃절로 유명한 만큼 절 입구에서 비탈진 본당 앞으로 이어진 꽃동산은 이름처럼 전국의 신도와 관광객들로 꽃 반 사람 반의 절경을 이루는 곳이다. 이렇게 꽃으로 아름다운 삼실호사는 본존인 천수관음상의 효험이 크다고 알려져 있으며 서국33곳 순례사찰(西三十三箇所)가운데 10번째 도량으로 많은 일본인이 찾는 절이다.

도쿄에서는 눅진 장마철에 상큼한 보랏빛 꽃의 수국이 인상적이었던 기억이 난다. 한국에서는 그다지 수국이 눈에 안 띄지만 일본의 여름은 수국으로 시작된다고 해도 좋을 만큼 갖가지 색깔의 수국이 여름을 아름답게 꾸며준다.

* 일본한자는 구자체로 썼습니다.

.

.

이윤옥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장(59yoon@hanmail.net)

소장 김영조 ☎ (02) 733-5027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5가길3-1. 영진빌딩 703호
koya.egreennews.com, pine996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