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사극에 보면 정갈한 사랑방에서 흐트러짐 없는 자세로 글을 읽는 선비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때 선비가 책을 올려놓고 보는 앉은뱅이 작은 책상을 서안(書案)이라 하고 그 옆에 벼루와 먹 그리고 붓을 넣어두는 상자가 있는데 이를 ‘연상(硯床)’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서안과 연상은 옛 선비들 사랑방에 꼭 놓여있었던 가구였습니다.
▲ 벼루, 붓, 먹, 연적을 넣어두었던 선비의 벗 연상(硯床)
높이 16∼30㎝의 작달막한 연상은 윗부분에 뚜껑을 덮고 그 안에 벼루를 넣어 둡니다. 어떤 연상은 뚜껑이 없이 벼루를 바로 쓸 수 있게 해놓은 것도 있는데 이 이름은 따로 ‘연대(硯臺)’라 합니다. 그리고 아래로는 서랍을 두어 붓이나 먹, 연적을 넣어두기도 합니다. 또 문갑이나 서안과 겸한 것들도 눈에 띕니다. 그밖에 벼루와 먹을 보관하는 작은 함이 있는데 이는 벼룻집[연갑(硯匣)]이라고 하지요.
연상을 만드는 재료로는 은행나무ㆍ소나무ㆍ먹감나무가 가장 많이 쓰였으며, 모과나무로 만든 투각장식의 연상과 나전칠기 연상은 매우 화려한 고급품입니다. 또한, 대쪽 같은 선비의 품격을 나타내는 대나무 연상도 많습니다. 벼루 10개와 붓 천 자루를 갈아치웠다는 추사 김정희와 명필 왕희지(王羲之)ㆍ안진경(顔眞卿)의 필법을 익혀 예서, 전서, 초서, 해서, 행서체에 모두 뛰어났던 한석봉은 아마도 이 연상이 귀한 벗이었을 것입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4362호) 부엌과 뒷간이 멀리 있는 까닭 (0) | 2020.06.16 |
---|---|
(얼레빗 4361호) 골진 이남박 주름은 어머니 시름 (0) | 2020.06.15 |
(얼레빗 4359호) 청화백자에 담아 선물했던 ‘감동젓무’ (0) | 2020.06.11 |
(얼레빗 4358호) 조선독립만세’, 학생들의 <6·10만세운동> (0) | 2020.06.10 |
(얼레빗 4357호) 80년여 전 신도 300여 명을 살해한 백백교 (0) | 2020.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