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4376호) 숫맷돌이 암맷돌보다 넓은 남부지방 맷돌

튼씩이 2020. 7. 6. 07:52

우리의 전통 농기구 가운데는 곡식을 갈아서 가루로 만들 때나 물에 불린 곡식을 갈 때 사용하는 기구 맷돌이 있습니다. 맷돌은 흔히 한 사람이 손잡이를 돌리고 다른 한 사람은 아가리(구멍)에 곡식을 넣습니다. 그러나 맷돌이 크고 갈아야 할 곡물이 많을 때는 맷손잡이에 가위다리 모양으로 벌어진 맷손을 걸고 2~3사람이 노를 젓듯이 앞뒤로 밀어가며 갈기도 하지요.

 

그런데 우리나라 맷돌은 중부와 남부 두 지방의 것이 다릅니다. 중부지방의 것은 위쪽 곧 암맷돌과 아래쪽 숫맷돌이 같고, 둥글넓적하여 맷돌을 앉히기가 좋은 매함지나 멍석을 깔고 쓰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남부의 것은 숫맷돌이 암맷돌보다 넓고 크며 한쪽에 주둥이까지 길게 달려서 매함지나 매판을 쓰지 않지요. 맷돌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여 작은 것은 지름 20㎝에서 큰 것은 1m가 넘는 것도 있습니다. 일반 맷돌보다 곱게 갈 수 있는 맷돌은 풀매라고 부릅니다.

 

▲ 위아래의 크기가 같고 매함지나 멍석을 깔고 쓰는 중부지방 맷돌(왼쪽), 위아래 크기가 다르며 주둥이가 길게 달린 남부지방 맷돌

 

맷돌에도 우리 겨레의 슬기로움이 있습니다. 아래 숫맷돌은 고정하고 위의 암맷돌을 돌리는데 이때 원심력이 생기며, 이 원심력과 함께 달팽이 모양의 홈이 파인 암맷돌 밑 부분을 통해서 곡물이 바깥으로 쉽게 밀려나가게 했지요. 또 둥글게 만든 것은 바람을 통하게 하여 열이 발생되는 것을 막고, 식물성 물질을 변질 없이 잘 으깨지도록 합니다. 여기에 맷돌은 믹서기의 시끄러운 기계음과는 달리 돌이 맞물려 나는 자연스러운 소리가 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