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어다보니 만학천봉이요, 굽어다보니 백사지로다. 허리 굽어진 늙은 장송, 광풍을 못 이겨 우쭐우쭐 춤을 출 제, 원산은 암암, 근산은 중중, 기암은 촉촉, 뫼산이 울어, 천리 시내는 청산으로 돌고, 이 골 물이 주르르르르, 저 골 물이 콸콸, 열에 열두 골 물이 한데 합수쳐 천방자 지방자 얼턱져 구비져 방울이 버끔, 저 건너 병풍석에다 마주 쾅쾅 마주 쌔려”
위는 “고고천변일륜홍”으로 시작하는 판소리 <수궁가> “고고천변” 한 대목입니다. 이 사설은 별주부가 처음으로 수궁 밖을 벗 어나 용왕의 병에 쓸 토끼의 간을 구하러 세상으로 나오는데 풍경이 모두 새롭고 감당할 수 없으리만큼 벅찬 느낌을 담은 것입니다. “시내는 푸른 산을 돌아 이 골 물은 주르르르르, 저 골 물은 콸콸, 열두 골 물이 합쳐져 구비져서 물방울이 일고” 한자말이 섞이긴 했지만 아름다운 우리말을 잘 구사한 소리라 하겠지요. 그만큼 자연을 기막히게 표현한 것으로 워낙 인기가 있어 진작부터 따로 불리고 있는 대목입니다.
▲ ’고고천변‘ 대목이 있는 임방울 명창 음반
‘고고천변’은 중중모리장단의 비교적 경쾌한 창법에 우조(국악 오음의 하나인 ‘우’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조)로 불렸기 때문에 노래의 성격이 씩씩하면서도 엄숙한 분위기를 표현합니다. 판소리에서는 이 “고고천변‘처럼 가사 첫머리를 제목으로 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춘향가> 가운데 ’쑥대머리‘나 <심청가> 가운데 ’범피중류‘가 그것입니다. <고고천변>을 음반으로 취입한 명창으로는 임방울, 송만갑, 김창환, 김연수 등이 있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4442호) ‘한글이름’이 아니라 ‘한말글이름’이어야 (0) | 2020.10.07 |
---|---|
(얼레빗 4442호) 우리말 속에 한자말이 70~80%가 된다구요? (0) | 2020.10.06 |
(얼레빗 4440호) ‘반보기’도 못해 영상통화로 대신한 한가위 (0) | 2020.10.02 |
(얼레빗 4439호) 독자 여러분, 기쁜 한가위 맞으시기 비손합니다!! (0) | 2020.10.01 |
(얼레빗 4438호) 우리말 사랑한다면 추석 아니라 ’한가위‘ (0) | 2020.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