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차림을 더욱 우아하게 하는 노리개
노리개는 조선 여인네들의 한복 저고리 겉고름 또는 치마허리에 차는 꾸미개(장신구)입니다. 모양이 다양하면서도 화려하고 섬세한 노리개는 궁중 사람들은 물론이고, 백성에 이르기까지 두루 즐겨 찼습니다. 몸에 차는 꾸미개는 원래 칼이나 숫돌 같은 삶에 필요한 물건을 허리에 찼던 북방 유목민의 풍속이 전해진 것이라 하지요. 서긍의 『고려도경』에는 “고려시대 귀족 부녀자들이 허리띠에 금방울·금향낭金香囊을 찼다”라는 기록도 있습니다. 이렇게 허리띠에 달았던 꾸미개들은 고려시대 후기에 들어서면서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지자 허리 대신 고름에 달게 되었지요.
노리개는 띠돈, 끈목, 꾸미개, 매듭, 술의 다섯 부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먼저 띠돈帶金은 노리개의 맨 윗부분에 달린 고리로 노리개 전체를 옷끈에 달 수 있도록 만듭니다. 네모·동그라미·꽃 모양·나비 모양으로 만들고 띠돈의 겉면에는 꽃·불로초·용 따위의 동식물무늬와 길상무늬를 새깁니다. 이 띠돈을 끈목多繪이 꾸미개(패물)와 연결해줍니다.
끈목에 달리는 꾸미개(패물)의 개수에 따라 1개를 다는 단작노리개, 3개를 한 벌로 다는 삼작노리개가 있지요. 삼작노리개는 다시 대삼작, 중삼작, 소삼작으로 나뉘는데 대삼작노리개는 궁중이나 양반가의 혼례용으로 쓰였고, 중삼작노리개는 궁중과 양반들의 일상에서, 소삼작노리개는 젊은 여성이나 아이들이 차던 것입니다. 특히 대삼작조리개는 옥나비, 밀화불수密花佛手, 산호가지, 은장도 따위로 꾸며 매우 화려하지요. 재료에 따라 금·은·옥·밀화·산호 노리개, 형태에 따라 박쥐·나비·매미·천도·투호·방아다리 노리개로 불립니다. 이밖에 향갑·향낭(향주머니)·침낭·장도와 같이 실용적인 것을 달기도 하지요. 또 꾸미개에는 매듭이 달리는데, 꾸미개를 더욱 아름답게 보이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달리는 술(유소流蘇)은 길게 늘어뜨려 노리개를 우아하게 보이도록 해주는데 딸기술·봉술·끈술·방울술 따위가 있습니다. 한복도 외면당하는 오늘날에는 노리개를 단 우아한 여인을 길에서 보기는 어려워졌습니다.
밀화불수 밀랍 느낌의 천연호박으로 만든 꾸미개.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아름다운 우리문화 산책(김영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녀가 물질할 때 입던 소중기 (0) | 2021.11.18 |
---|---|
수입된 지 100년도 안 된 고무신 (0) | 2021.11.17 |
가장 오래된 회장저고리, 상원사 복장유물 (0) | 2021.11.15 |
흥선대원군의 집무복, 단령 (0) | 2021.11.14 |
궁중 여인들이 입던 대란치마와 스란치마 (0) | 2021.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