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407. “물렀거라!”를 외치지 못하게 한 영의정 홍언필

튼씩이 2016. 10. 17. 20:18

날마다 쓰는 한국문화 편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9(2016). 10. 17



영의정 홍언필이 밖에 나갔다가 집에 들어올 때였습니다. 하인들이 "물렀거라! 영의정 대감 행차시다."라고 외쳤습니다. 이에 깜짝 놀란 홍언필이 손사래를 치면서 "조용히 하거라."고 말합니다. 높은 벼슬아치가 초헌(조선시대 종2품 이상의 벼슬아치가 탄 수레로 외바퀴이며, 지붕은 없다)이나 보교(조선시대에 벼슬아치들이 탄 가마로 사면으로 휘장을 둘렀고, 지붕이 있다)를 타고 행차할 때는 으레 종들이 "썩 물렀거라." 같은 "벽제소리"를 외치는 것인데 홍언필은 이를 못하게 한 것입니다.

홍언필(1476 ~ 1549)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대사헌을 6번이나 지냈고,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던 명신입니다. 이렇게 홍언필은 영의정 높은 벼슬을 지낸 사람이었지만 늘 겸손하고 조심하며, 처세에 허물이 없도록 조심을 다했습니다. 이런 홍언필을 두고 소심한 사람으로 비판하기도 하지만 어쩌면 이런 것이 공직자의 표본이 아닐까요?

이 홍언필에 환갑잔치 이야기도 전해집니다. 영의정에 올랐고, 그의 아들들도 판서에 오른 자랑스러운 집안이어서 집안사람들은 크게 잔치를 치릅니다. 광대를 불러 곱사춤을 추게 하고, 기생을 불러 노래를 시키는 등 걸판지게 잔치를 엽니다. 그러나 이에 홍언필은 마음이 무겁습니다. “내가 외람되이 한 나라의 높은 벼슬자리를 차지해서 늘 마음속으로 경계하고 삼가는 것을 잊지 않았다. 그런데 오늘 수십 명의 기생을 불러 어지럽고 질탕하게 노니 나는 오히려 편치 않다.”라고 하여 광대와 기생들을 물러나게 했다고 하지요.

--------------------------------------------------------
< 토박이말 시조 285 >

다 간 매미



매미는 어디 갔나 수풀이 고요하네

꼬까잎 천천히 곱게들 물드는데

올 가을 높은 하늘엔 무어이 그려질까

.

* 꼬까 : 단풍
* 갈 하늘 : 가을 하늘

.

재일본 한국문인협회 회장 김리박

소장 김영조 ☎ (02) 733-5027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www.koya-culture.com, pine9969@hanmail.net